통일부 당국자는 7일 “6ㆍ15남측위의 북측위 접촉 신청에 대해 수리 거부를 했다”며 “김천식 통일부차관이 김상근 6·15남측위 상임대표를 만나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비정치 분야에서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를 선별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정치적 분야는 다르다”며 “6ㆍ15남측위와 북측위의 접촉이 의도하지 않게 정치적으로 변질해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6ㆍ15 공동선언의 이행 문제는 당국 간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고 강조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도 앞서 지난 1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주최 조찬강연회에서 “남북관계 상황이 민감한데 민간단체가 나서서 정치활동을 하면 더 꼬일 수 있다”며 “6ㆍ15남측위와 북측위의 접촉에 부정적 견해를 내비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불허에도 남측위는 북측위와 합의한 선양 접촉을 강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밝혀 정부와 충돌이 예상된다. 남측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국 간 접촉 이전에 민간교류를 차단하겠다는 정부의 인식은 잘못된 것”이라며 “정부가 불허해도 선양에서 접촉을 갖기로 내부적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남측위는 지난달 27일 남북교류 재개 등을 위해 2월 초 중국 선양에서 만날 것을 제안했고, 이에 북측위는 9∼10일 선양에서 만나자고 화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