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7개월 동안 수도권 신도시 전셋값이 평균 4.4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전셋값 상승 압력에 세입자들이 밀려들어간 2기 신도시의 전셋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7개월 동안의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을 조사한 결과 평균 3.8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신도시 4.47%, 서울 3.51%, 경기도 3.94%, 인천 2.94% 순이었다.
이 가운데 판교ㆍ김포한강ㆍ광교 등 2기 신도시가 5.27% 오르며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광교의 경우 입주 2년 차 단지의 재계약이 이뤄지면서 20.93%나 급등했다.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도 4.24% 상승하며 수도권 평균을 웃돌았다.
신도시의 전셋값 상승폭이 큰 것은 서울 전셋값 상승에 부담을 느낀 세입자들이 대거 이주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2기 신도시의 경우 입주 초기 많은 물량이 일시에 공급되면서 낮게 형성돼 있던 전셋값이 재계약 시점이 되면서 크게 오른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권일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수도권 전셋값 강세는 매매수요가 늘어나지 않는 한 입주물량이 해마다 줄어들어 최소한 오는 2014년까지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