뭄바이 지역을 기반으로 인도 전역에서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벌이고 있는 스킬인프라스트럭처의 니킬 간디 회장은 지난달 24일 자신의 집무실에서 기자를 만나 인프라 투자를 인도 경제 회복의 해법으로 제시했다. 간디 회장뿐만이 아니다. 현지에서 만난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식어가는 인도 경기를 되살릴 근본적이고 가장 확실한 해결책으로 인프라 투자를 꼽았다.
그동안 인도 경제의 잠재력을 갉아먹는 요인 중 하나로 평가돼온 인프라를 개선함으로써 경기부양 효과뿐 아니라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단단한 주춧돌을 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인도 정부도 현재 실시 중인 제12차(2012~2017년) 경제개발계획에서 인프라 투자규모를 지난 11차 개발계획보다 2배나 많은 1조달러로 책정해 철도와 도로 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투자자금 마련이다. 인도 재정적자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데다 경기마저 좋지 않아 자금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도 정부는 재정적자 목표치를 국내총생산(GDP)의 4.6%로 잡았으나 실상은 이를 크게 웃도는 5.8%를 기록했다. 올해는 GDP 대비 5.1%를 목표로 제시했지만 이는 GDP 성장률이 7.6%에 달하는 것을 전제로 한 수치다. 인도 경제성장률은 최악의 경우 올해 5%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이는 사실상 달성이 불가능한 목표로 평가되고 있다. 게다가 올해는 우기인 몬순 계절에 강우량이 줄어드는 바람에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정부가 대규모 보조금을 풀고 있어 재정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인도 정부는 또 최근 저소득층의 식료품 구입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민심을 잡기 위한 선심용 정책은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인도의 재정 문제는 앞으로 점차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라지브 롤 인도인프라개발금융공사(IDFC) 대표는 이와 관련해 "인도는 향후 5년 동안 인프라 개발을 위해 4,000억~5,000억달러가 필요한데 자금을 구하는 게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