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KISTI는 국내에서 생산된 SCI급 논문을 포함한 약 100만여건에 달하는 학술논문과 논문 모음집을 아이패러다임에 무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 정보들은 아이패러다임의 글로벌 학술정보 DB에 저장되고, 이를 토대로 논문표절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전 세계의 연구자들에게 활용된다.
KISTI가 아이패러다임에 학술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이제 국내 논문들도 표절검증 베이스 데이터로 활용되며, 만약 A논문이 국내의 학술정보를 표절했다면 이를 밝혀낼 수 있게 됐다.
최희윤 KISTI 정보서비스센터장은 “과학기술 학술정보는 국가의 핵심 자산임에도 지금껏 글로벌 지식재산권 보호가 미약했던 게 사실”이라며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국내 최초로 국내 학술정보가 해외의 표절검증 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