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는 9일 보도된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차 아베 내각에서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에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보여주는 것과 같은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답변서를 각의 결정했는데 당시 비판을 받았던 이 각의 결정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아사히신문이 과거 보도했던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 기사에 인용한 증언 내용을 취소하고 일부 보도 오류를 인정한 데 대해 나온 것이다. 진보성향 아사히신문은 1980~1990년대 기획보도로 일본 사회에서 군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나 지난 5일 위안부 특집기사에서 제주도 여성을 강제로 끌고 가 위안부로 삼았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사망)씨의 증언이 거짓으로 판단돼 관련 기사를 취소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아사히는 "자유를 박탈당하고 여성으로서의 존엄을 짓밟힌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아사히가 취소한 증언이 지금까지 사실로 보도되면서 "(한일) 두 나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모든 교과서에 '강제연행' 기술이 실린 것도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그 보도로 많은 이들이 슬픔과 괴로움을 겪었다. 그런 결과를 초래하는 데 대한 자각과 책임감 아래 항상 검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아사히신문에 실렸던 요시다의 증언이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의 유일한 근거였던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 기사 취소를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면책론의 근거로 이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본의 우익 정치인들은 5일 이후 아사히의 오보로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이웃나라와의 우호관계에 큰 영향을 받았다며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