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 경영진은 7월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올해 말까지 조기통합 추진의 필요성을 제기한 후 계속 노조와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후 노조와의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해 지난달 말로 예정됐던 통합이사회를 미루기까지 했다.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이 과정에서 수차례나 노조를 직접 찾아갔다고 한다. 하지만 노조는 2012년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을 인수할 당시 내놓은 '2017년까지 독립경영 보장'이라는 합의서를 들이대며 대화조차 거부하는 형편이다. 노조가 조기통합시 조합원들의 고용불안 등을 우려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사측이 고용안정 보장, 근로조건 유지를 약속한 마당에 만남조차 갖지 않겠다는 것은 '반대를 위한 반대'에 불과하다.
국내 은행이 처한 어려운 경영환경을 생각한다면 이런 명분 없는 싸움은 자멸의 길일 뿐이다. 외환은행 노조도 이를 잘 알 것이다. 2011년 9조원을 넘었던 국내 시중은행의 순이익은 지난해 4조원대로 반 토막 났다. 이 기간 외환은행의 순이익은 58%나 급감했다. 외환은행이 2017년까지 통합을 미룬 채 현 상태를 지속하다가는 구조적 적자경영이 불가피하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렇게 되면 애초에 고용보장을 약속했더라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다는 점을 노사 모두 인식해야 한다. 외환은행 노조는 이런 현실을 직시하고 대화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 조기통합에 대한 노사 간 합의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지금 국내 금융산업 모두가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