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고/12월 29일] 농업기술도 이젠 R&BD시대
입력2008-12-28 17:08:38
수정
2008.12.28 17:08:38
자원이 빈약한 우리 농업은 기술혁신을 통해 성장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녹색혁명과 백색혁명은 한국의 기술농업 수준을 대표하는 용어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농업의 성장세가 정체돼 지난 2004년 이후 농업총생산액이 명목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한 때다.
기술혁신을 뒷받침하는 것이 연구개발(R&D)이다. 농업은 민간부문의 R&D가 미흡, 재정 투자로 기술을 개발해 보급해왔다. 사회간접자본(SOC) 성격의 공공기술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공적인 R&D에는 함정이 있다. 연구성과의 활용이나 사업화가 특정화되지 않아 지식과 기술이 주인 없이 사장되거나 농업의 특성상 가시적인 효과를 얻기까지 상당 기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기술개발과 사업화 동시에 구현
현재 추진되고 있는 R&D 지원사업의 경우에 많은 연구자들이 최종연구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보고서나 논문으로 발표되는 공지 기술은 이미 재산적 가치가 없으며 기술 정보를 세상에 알릴 뿐이다. 신기술의 특허출원을 통해 지적재산권을 취득하거나 제품 개발 등으로 사업화해야만 부가 창출된다.
이제 연구와 사업을 따로 생각하는 시대는 지났다. R&D의 변천사를 보면 1900년대의 제1세대는 기술적 성과를 얻는 데 집중, 1950년대의 제2세대는 사업 개발의 효율을 지향, 1980년대의 제3세대는 통합기술 개발을 중시했다. 그리고 2000년 들어 제4세대 R&D 개념이 나왔는데 고객과 시장지향의 가치창출형 기술 개발을 표방하고 있다.
이제 농식품 R&D도 개념을 확대해 기술과 시장을 일체화시켜 고객가치 혁신을 주도하는 4세대 R&D, 즉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시대로 전환해야 한다.
R&BD는 연구의 초기 단계부터 사업성을 검토하고 연구를 수행하면서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단계마다 연구 방향을 조정해나감으로써 성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최근 미국과 유럽의 기술 선진국에서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런 배경으로 농림기술개발사업은 2006년부터 기술 사업화를 연계한 지원방식으로 전환해 추진하고 있다. 모든 연구과제에 기업체가 책임자 또는 협동연구로 참여하도록 하고 연구비를 부담하는 조건을 의무화했다.
특히 올 8월에 출범한 농산품수출연구사업단은 대학과 기업체,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결합한 혁신클러스터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 또 이미 완료한 과제 중에서 아직 사업화하지 못한 신기술을 선발해 시제품 개발과 마케팅을 지원하는 신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을 시범적으로 착수했다.
기존의 R&D가 연구와 개발 단계에 머문다면 R&BD는 산업체의 비즈니스 전략과 연관된 연구와 사업 개발이 동시에 이뤄진다는 차이가 있다. 즉 기술 개발과 사업 개발, 그리고 시장 개발이 축차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기술 개발과 사업화가 동시에 구현되는 방식이다.
금융지원·창업보육 시스템 갖춰야
이러한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R&D 투자와 함께 기술 자원을 성장동력화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거래, 기술평가기관, 기술담보 금융지원, 창업보육,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
현대는 고객가치 혁신의 시대다. 과거에는 누가 더 싸게 만드느냐가 경쟁의 핵심이었으나 이제는 고객이 느끼는 가치가 더 중요해졌다.
세계경제 전쟁에서 신기술의 상용화를 통한 수요 창출과 시장 선점의 경쟁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시장과 고객이 원하는 가치의 창출, 이 시대의 연구자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