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화학업계의 공룡 업체인 다우케미컬과 듀폰이 합병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이 타결될 경우 올해 최대 인수합병(M&A)으로 기록됨과 동시에 글로벌 화학업계 재편을 예고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협상에 참여하고 있는 핵심 관계자를 인용해 양사가 수일 내 합병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다우케미컬과 듀폰은 각각 시가총액 589억달러와 583억달러에 이르는 공룡 업체로 협상이 타결될 경우 약 1,200억달러(141조2,640억원)의 자산을 갖춘 거대기업이 탄생해 올해 최대 규모의 M&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는 다우케미컬의 앤드루 리버리스 최고경영자(CEO)가 합병법인 회장을, 듀폰의 에드워드 브린 CEO가 최고경영자를 맡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합병으로 두 회사는 플라스틱부터 산업용 화학, 농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부에서 강력한 지위를 갖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WSJ는 합병법인이 미국 옥수수 종자 시장과 대두 시장에서 각각 41%와 38%의 점유율을 확보하게 된다며, 특히 농업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전했다. 또 합병법인은 글로벌 살충제 판매의 17%를 장악해 농업용 화학제품 분야에서 세계 3위로 올라서게 된다.
합병 이후 양사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다우케미컬과 듀폰은 그동안 주주들로부터 몸집을 줄이고 핵심사업에 집중하라는 요구를 받아왔다. 이에 따라 합병법인은 석유화학처럼 이익률이 떨어지는 사업을 접고 수익성이 높은 특수 화학업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다우케미컬과 듀폰 간 합병이 글로벌 화학업계 재편을 초래할 가능성도 크다. WSJ는 곡물 가격 하락에 대처하기 위해 종자회사들을 중심으로 화학업계의 주요 기업들이 M&A를 적극적으로 준비해왔다며 이번 합병이 다른 기업들의 추가 M&A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협상 타결이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한 올해 M&A시장의 피날레를 장식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 들어 체결된 M&A는 4조3,040억달러 규모로 지난 2007년에 기록한 종전 역대 최고치를 이미 넘어섰다. /이경운기자 cloud@sed.co.kr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협상에 참여하고 있는 핵심 관계자를 인용해 양사가 수일 내 합병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다우케미컬과 듀폰은 각각 시가총액 589억달러와 583억달러에 이르는 공룡 업체로 협상이 타결될 경우 약 1,200억달러(141조2,640억원)의 자산을 갖춘 거대기업이 탄생해 올해 최대 규모의 M&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는 다우케미컬의 앤드루 리버리스 최고경영자(CEO)가 합병법인 회장을, 듀폰의 에드워드 브린 CEO가 최고경영자를 맡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합병으로 두 회사는 플라스틱부터 산업용 화학, 농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부에서 강력한 지위를 갖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WSJ는 합병법인이 미국 옥수수 종자 시장과 대두 시장에서 각각 41%와 38%의 점유율을 확보하게 된다며, 특히 농업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전했다. 또 합병법인은 글로벌 살충제 판매의 17%를 장악해 농업용 화학제품 분야에서 세계 3위로 올라서게 된다.
합병 이후 양사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다우케미컬과 듀폰은 그동안 주주들로부터 몸집을 줄이고 핵심사업에 집중하라는 요구를 받아왔다. 이에 따라 합병법인은 석유화학처럼 이익률이 떨어지는 사업을 접고 수익성이 높은 특수 화학업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다우케미컬과 듀폰 간 합병이 글로벌 화학업계 재편을 초래할 가능성도 크다. WSJ는 곡물 가격 하락에 대처하기 위해 종자회사들을 중심으로 화학업계의 주요 기업들이 M&A를 적극적으로 준비해왔다며 이번 합병이 다른 기업들의 추가 M&A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협상 타결이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한 올해 M&A시장의 피날레를 장식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 들어 체결된 M&A는 4조3,040억달러 규모로 지난 2007년에 기록한 종전 역대 최고치를 이미 넘어섰다. /이경운기자 cloud@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