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원종욱 교수, 근로손실 3,985만일 달해
조기진단·치료·예방 강화, 노동생산성 유지를
근로자들의 목·허리 디스크 등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경제손실이 지난해 4조원을 웃돈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한 근로손실일도 498만여명이 8시간 일해야 채울 수 있는 3,985만일이나 됐다.
원종욱 연세대 의대 교수는 18일 노동생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근골격계질환의 조기 진단·치료·관리방안을 논의하는 글로벌 프로젝트(Fit for work)의 한국측 포럼이 새정치민주연합 한정애·김용익 의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근골격계질환은 무거운 물체를 다루거나 오랜 시간 굽은 자세로 단순·반복작업을 해 허리·목·어깨·팔다리 등에 생기는 통증이다. 목·허리 디스크 등 추간판 병변, 경추·요추·팔꿈치·무릎·발목·손목 및 손가락 관절을 지지해주는 인대나 근육이 외부충격 등으로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져 발생한다.
원 교수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으로 입원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10만명당 1,863명으로 피부양자의 1.5배, 외래진료를 받은 직장가입자는 10만명당 7만5,425명으로 피부양자의 1.8배였다. 근로자 10만명당 근로손실일은 15만3,267일, 손실비용은 155억여원에 달했다.
지난해 업무 관련 질병으로 산업재해 인정을 받은 근로자의 67%가 이 질환자였다. 산재 근골격계질환자의 83%는 30~50대였고 업종은 제조업 46%, 서비스업 37%, 건설업 11%, 운수창고·통신업 4%로 광범위했다.
한 의원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아파도 참고 근무해야 하는 기업문화 때문에 근골격계질환을 키워 노동력을 상실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질병휴가제 도입, 산업안전보건법 강화, 건강보험 적용 확대,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 전후 스트레칭 등 예방활동 및 조기진단·치료 강화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권순원 포럼 대표(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생산가능인구(20~64세)에서 근골격계질환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직간접 생산성 손실비용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적극적인 예방·관리로 노동력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국가 경쟁력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