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치사를 돌아볼 때마다 특징적인 것이 있다. 굵직한 선거를 전후해 우리 정당은 분열과 연합 등 정계 개편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곤 했다. 평소 잠복해 있던 계파 간 갈등이 선거라는 피할 수 없는 계기로 분출, 폭발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야당이나 소수 여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었다. 이때마다 정계 개편을 주도하는 세력들은 기존 체제로 안된다며 당 체제를 '혁신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걸었다. 혁신이 곧 당권 도전이나 분당·신당 창당의 동의어로 쓰일 정도였다.
최대 정계개편이라 불리는 열린우리당 창당이 대표적이다. 대통령선거에 이기고도 당을 주도하지 못했던 새천년민주당 내 친노무현계가 신당 창당을 위해 내건 혁신안이 지역주의 타파였다. 그래서 친노계뿐 아니라 이에 동조하는 한나라당과 개혁국민정당의 세력과 연대해 전국 정당을 표방하고 지난 2013년 11월 창당한다. 다음해 3월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의 강력한 저지에 나섰음에도 실패로 끝났으나 이를 발판으로 17대 총선에서 원내 1위 정당으로 도약한다.
그러나 딱 여기까지였다. 이후의 재보궐선거와 2006년 5·31지방선거까지 모두 패배했고 의석수가 73석까지 줄었다가 2007년 호남 지역 기반의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돼 역사 속에서 사라지고 만다. 그 뒤 두 차례 대선마저 모두 패배하고 매번 당 혁신을 내건 기구나 비상대책위까지 발족하고 당명까지 수차례 바꾸었으나 별 소득이 없었다.
열리우리당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최근 내부사정이 심상치 않다. 문재인 대표가 제안한 공동지도부 구성안에 대해 안철수 의원이 거부한데다 오히려 문 대표 퇴진을 전제로 한 '혁신 전당대회'의 조기 개최를 역(逆)제안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주류인 친노계에 대해 비주류인 비노계가 '당 혁신'을 기치로 정계개편의 원심력을 주도하고 있다. 2003년과 비교해 이번에 바뀐 것은 친노계가 청산해야 할 '운동권 정치' 세력으로 혁신 대상이 됐다는 점이다. /온종훈 논설위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