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지난 3·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9%를 기록했다. 분기 성장률이 7% 아래로 떨어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던 2009년 1·4분기 이후 6년6개월 만에 처음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3·4분기 GDP가 17조3,595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같은 성장률은 시장 예상치인 6.8%보다는 0.1%포인트 높지만 당초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치로 내세웠던 7%대를 지키지는 못했다.
3·4분기 성장률이 7% 밑으로 떨어진 것은 제조업의 부진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1차산업과 2차산업이 각각 4.1%, 5.8%의 성장률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3차산업은 8.6%의 성장률을 보였다.
3·4분기까지의 올해 누적 성장률 역시 중국 정부의 목표인 7%를 넘지 못하며 올해 성장률이 7% 이상을 기록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누적 GDP는 48조7,774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중국의 '바오치(保七·7%대 성장률 유지)' 시대가 올해 끝이 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국제금융기구와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올해 중국이 7%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경우 각각 6.8%로 관측했다. 골드만삭스와 씨티그룹·JP모건·BNP파리바·UBS 등도 같은 수치를 제시했었다. 특히 바클레이스는 이보다 낮은 6.6%로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날 함께 발표된 산업생산은 시장 예측치보다 낮은 전년 대비 5.7% 증가하는 데 그쳤고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역시 10.3%로 시장 예상에 못 미쳤다.
다만 소매판매 증가율은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도는 10.9%를 기록했다.
중국 내 전문가들은 중국 최고지도부가 다음주로 다가온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5차전체회의(5중전회)에서 7% 달성을 위한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빈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중심 거시경제조사국장은 “인프라 투자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경기부양을 해야 한다”며 “특히 수력발전을 포함한 수리 사업과 농지개발 등 농촌 지역에 대한 투자가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김현수특파원 hskim@sed.co.kr
중국 국가통계국은 3·4분기 GDP가 17조3,595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같은 성장률은 시장 예상치인 6.8%보다는 0.1%포인트 높지만 당초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치로 내세웠던 7%대를 지키지는 못했다.
3·4분기 성장률이 7% 밑으로 떨어진 것은 제조업의 부진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1차산업과 2차산업이 각각 4.1%, 5.8%의 성장률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3차산업은 8.6%의 성장률을 보였다.
3·4분기까지의 올해 누적 성장률 역시 중국 정부의 목표인 7%를 넘지 못하며 올해 성장률이 7% 이상을 기록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누적 GDP는 48조7,774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중국의 '바오치(保七·7%대 성장률 유지)' 시대가 올해 끝이 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국제금융기구와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올해 중국이 7%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경우 각각 6.8%로 관측했다. 골드만삭스와 씨티그룹·JP모건·BNP파리바·UBS 등도 같은 수치를 제시했었다. 특히 바클레이스는 이보다 낮은 6.6%로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날 함께 발표된 산업생산은 시장 예측치보다 낮은 전년 대비 5.7% 증가하는 데 그쳤고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역시 10.3%로 시장 예상에 못 미쳤다.
다만 소매판매 증가율은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도는 10.9%를 기록했다.
중국 내 전문가들은 중국 최고지도부가 다음주로 다가온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5차전체회의(5중전회)에서 7% 달성을 위한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빈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중심 거시경제조사국장은 “인프라 투자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경기부양을 해야 한다”며 “특히 수력발전을 포함한 수리 사업과 농지개발 등 농촌 지역에 대한 투자가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김현수특파원 hsk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