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공천 룰' 싸움이 잠시 소강상태를 거쳐 본격적인 싸움으로 확전될 전망을 보이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국민공천제' 공세에 맞선 청와대는 '공천개혁'을 명분 삼아 맞서면서 대응에 나선 형국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의중은 결국 김 대표가 주장하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 의원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만큼 선거를 통한 '인적 쇄신'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반론을 제기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줘야 한다'는 명분으로 여론전에서 앞서나간다는 평을 받았던 김 대표에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속내를 들여다보면 내년 총선에서 여전한 영향력 행사를 바라고 있는 박 대통령 측으로서는 전략공천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내세운 셈이기도 하다. 친박계인 이정현 최고위원이 '인물개혁'을 강조하면서 "전략공천이라는 용어로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있는데 사실 전략 없는 공천이 어디 있나"라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척점에 선 김 대표는 2일 "당헌·당규상 전략공천이라는 제도는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미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정치적 생명을 건 김 대표가 '전략공천은 없다'며 또 하나의 마지노선을 설정한 모습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노인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전략공천은 옳지 못한 제도다.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저녁 청와대 고위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휴전'을 제의한 것을 두고 "사과의 뜻을 밝힌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는 "누구한테 사과를 하나. 무슨 그런 질문이 있느냐"며 격앙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공천 룰 싸움에서 청와대에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정치권은 다음주 새누리당 내 공천 특별기구 구성과 함께 전략공천 도입 여부를 핵심으로 한 여권의 '공천전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 대표의 경우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한 제도를 앞세워 다수의 비박·중립 성향 의원들로부터 '암묵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평가지만 전면에 나서 싸울 전투력에서는 친박계에 비해 밀려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진동영·전경석기자 jin@sed.co.kr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의중은 결국 김 대표가 주장하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 의원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만큼 선거를 통한 '인적 쇄신'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반론을 제기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줘야 한다'는 명분으로 여론전에서 앞서나간다는 평을 받았던 김 대표에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속내를 들여다보면 내년 총선에서 여전한 영향력 행사를 바라고 있는 박 대통령 측으로서는 전략공천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내세운 셈이기도 하다. 친박계인 이정현 최고위원이 '인물개혁'을 강조하면서 "전략공천이라는 용어로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있는데 사실 전략 없는 공천이 어디 있나"라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척점에 선 김 대표는 2일 "당헌·당규상 전략공천이라는 제도는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미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정치적 생명을 건 김 대표가 '전략공천은 없다'며 또 하나의 마지노선을 설정한 모습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노인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전략공천은 옳지 못한 제도다.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저녁 청와대 고위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휴전'을 제의한 것을 두고 "사과의 뜻을 밝힌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는 "누구한테 사과를 하나. 무슨 그런 질문이 있느냐"며 격앙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공천 룰 싸움에서 청와대에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정치권은 다음주 새누리당 내 공천 특별기구 구성과 함께 전략공천 도입 여부를 핵심으로 한 여권의 '공천전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 대표의 경우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한 제도를 앞세워 다수의 비박·중립 성향 의원들로부터 '암묵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평가지만 전면에 나서 싸울 전투력에서는 친박계에 비해 밀려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진동영·전경석기자 jin@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