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이 16일 서울 여의도를 포함해 전국 12개 지역에서 노동입법 저지를 위한 총파업 집회를 열었지만 현장 근로자들의 호응은 싸늘했다. 겉으로 드러난 파업 참여인원은 7만4,000명으로 올해 벌어진 네 번의 총파업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지만 7만명에 달하는 현대·기아자동차 노조원을 제외하면 다른 사업장의 참여자는 1만명도 채 되지 않았다. 다만 현대차의 경우 부분파업과 잔업 거부 등으로 5시간 이상 생산이 중단되면서 457억원 규모의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기아차에서도 252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양사에서 총 709억원가량의 매출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일부 강성 지도부의 정치파업 동조에 따른 피해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날 민주노총의 4차 총파업에는 26개사 7만4,000여명이 참여했다. 금속노조와 건설플랜트노조가 주축이 됐으며 국내 최대 제조 부문 노조인 현대차 노조가 참여하면서 이전 1차(4월24일 3만4,000명), 2차(7월15일 9,600명), 3차(9월23일 5만명)보다 참여인원이 많았다. 앞선 총파업에는 현대차 노조는 간부들만 참여했다.
이날 총파업에는 현대차, 현대모비스, 금호타이어, 기아차,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이 참여했다.
하지만 이날 파업이 임단협이 아닌 정치파업이라는 것을 의식해서인지 실제 집회 참여인원은 많지 않았다. 서울 2,000여명을 포함해 12개 지역에서 1만7,000명이 참여한 것으로 노동부는 추산했다. 파업 참여자 중 일부가 집회에 참여했고 한국지엠·울산플랜트 등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사업장에서는 조합 간부, 비번자 등이 집회에 나왔다. 익명의 한 노조관계자는 "임금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고 있어 파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일부만 집회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총파업 동력이 떨어진 것은 불법정치파업에 대해 정부가 엄정한 법 집행을 강조한데다 현장 근로자들의 공감대도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노동전문가는 "대규모 폭력시위를 반복적으로 주도하는 것은 내부 권력 투쟁과 함께 진보세력의 무조건적인 지지를 얻기 위한 잘못된 행위"라며 "민주노총도 귀족노조가 아닌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위한 조직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이날 노조의 파업 참여로 2,200여대의 차량을 생산하지 못해 450억원 이상의 매출손실이 빚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기아차도 이날 차량 1,362대(매출차질액 252억원)의 생산차질이 빚어졌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새 차를 신청해놓은 한 대기자는 "소렌토 신차를 사려면 두 달을 넘게 기다려야 하는데 정치파업이 웬 말이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황정원기자 garden@sed.co.kr 울산=장지승기자 jjs@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