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 간 힘겨루기로 분당의 쓰나미에 내몰리고 있다. 문 대표를 향한 비주류의 사퇴 촉구와 혁신전당대회 수용 요구가 거세지만 문 대표는 여전히 혁신전대 수용불가 방침에 변함이 없다. '탈당은 공멸'이라는 공감대 속에 문 대표가 안 전 대표의 '최후통첩'을 받아들일지, 아니면 새로운 대안으로 극적 타협을 이뤄낼지는 이번주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정연은 7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 비주류인 주승용 최고위원과 이종걸 원내대표가 불참하며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으로 내몰렸다. 지난 4일부터 당무를 거부한 주 최고위원에 이 원내대표도 가세했으며 이들은 전날 밤 만나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주 최고위원은 문 대표가 안 전 대표의 혁신전대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며 최고위원 사퇴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원내대표는 "많은 것을 갖고 있는 분이 더 많이 내려놓고 당의 승리를 위해 함께해야 한다"며 문 대표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새정연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역시 오찬 회동을 통해 문 대표의 사퇴와 함께 혁신전대 개최를 주장했다. 문병호 의원은 "현 지도부 체제로는 총선 승리가 어렵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 문 대표와 안 전 대표는 당의 분열을 막고 살신성인해야 한다. 국민과 당원이 뜻을 모으고 야권 대통합과 혁신을 실천하는 전당대회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들은 가칭 '야권 대통합을 위한 구당모임'을 결성하고 참여 의원을 늘려 전대 개최를 압박할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칩거에 들어갔다. 최후통첩을 선언한 후 문 대표의 결단을 기다리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비주류의 사퇴 압박에도 문 대표는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미 혁신전대는 수용불가 방침을 밝힌 만큼 입장을 뒤바꾸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 필요한 것은 우리가 함께 손을 잡고 단합하고 협력하는 것"이라며 극적인 타협 가능성을 보였다.
안 전 대표를 비롯해 비주류 의원들의 탈당이 현실화될 경우 야권 분열로 총선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이미 총선에서 패배하면 자신의 정치인생을 끝내겠다고 밝힌 만큼 문 대표가 비주류의 요구를 어느 정도는 수용하는 관계회복에 나설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새정연은 7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 비주류인 주승용 최고위원과 이종걸 원내대표가 불참하며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으로 내몰렸다. 지난 4일부터 당무를 거부한 주 최고위원에 이 원내대표도 가세했으며 이들은 전날 밤 만나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주 최고위원은 문 대표가 안 전 대표의 혁신전대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며 최고위원 사퇴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원내대표는 "많은 것을 갖고 있는 분이 더 많이 내려놓고 당의 승리를 위해 함께해야 한다"며 문 대표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새정연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역시 오찬 회동을 통해 문 대표의 사퇴와 함께 혁신전대 개최를 주장했다. 문병호 의원은 "현 지도부 체제로는 총선 승리가 어렵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 문 대표와 안 전 대표는 당의 분열을 막고 살신성인해야 한다. 국민과 당원이 뜻을 모으고 야권 대통합과 혁신을 실천하는 전당대회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들은 가칭 '야권 대통합을 위한 구당모임'을 결성하고 참여 의원을 늘려 전대 개최를 압박할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칩거에 들어갔다. 최후통첩을 선언한 후 문 대표의 결단을 기다리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비주류의 사퇴 압박에도 문 대표는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미 혁신전대는 수용불가 방침을 밝힌 만큼 입장을 뒤바꾸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 필요한 것은 우리가 함께 손을 잡고 단합하고 협력하는 것"이라며 극적인 타협 가능성을 보였다.
안 전 대표를 비롯해 비주류 의원들의 탈당이 현실화될 경우 야권 분열로 총선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이미 총선에서 패배하면 자신의 정치인생을 끝내겠다고 밝힌 만큼 문 대표가 비주류의 요구를 어느 정도는 수용하는 관계회복에 나설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