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유권자들은 다가오는 20대 총선에서 '국정 안정'과 '정부·여당 심판' 가운데 어느 쪽에 더 무게를 두고 있을까.
서울경제신문·한국리서치가 지난 12월23~24일 전국 성인 1,000명(500명씩 두 그룹)을 대상으로 벌인 신년 여론조사 결과(96%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 '여당 심판론(45.6%)'과 '국정운영 안정론(42.3%)'이 오차범위 내에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연령대별로는 확연한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우선 20대와 30대, 40대에서는 '여당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비율이 각각 63.1%, 59.3%, 58.2%로 25.7~26.8%에 그친 '국정 안정론'을 압도했다.
반면 50대와 60대의 경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비율이 57.0%, 69.6%로 20~40대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50대와 60대에서 '여당 심판론'에 손을 들어준 응답자 비율은 각각 33.3%, 19.8%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호남권에서는 여당 심판론이, 충청·경남·강원·제주는 국정 안정론이 우세했으며 새누리당이 확고한 지지 기반을 구축한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의외로 국정 안정론(46.7%)과 여당 심판론(44.4%)이 대등한 비율을 나타냈다.
선호하는 국회의원 유형을 묻는 질문에는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는 의원'을 꼽은 응답자가 52.2%로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의원(45.8%)'보다 6.4%포인트 많았다.
이는 과거에 비해 의원들에게 국가 전반을 아우르는 안목과 비전을 요구하는 유권자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이에 못지않게 지역 발전을 중요시하는 시민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한편 총선 프레임에 관한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12월28~29일) 조사에서는 여당 심판론이 49.8%로 39.3%에 그친 국정 안정론을 압도했다. /나윤석기자 nagija@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