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니파 종주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시아파 맹주 이란의 갈등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예멘에서 이란 대사관이 사우디의 공습에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사우디가 시아파 성직자를 처형하면서 촉발된 두 나라의 갈등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란 국영방송 프레스 TV는 사우디 전투기가 예멘 수도 사나에 위치한 이란 대사관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방송은 이 사건으로 이란 대사관의 경비직원 여러 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전했다.
자국 대사관이 피해를 입자 이란은 즉각 사우디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호세인 자베르 안사리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사우디가 고의적으로 대사관을 폭격해 직원들이 다쳤다"며 "이는 외교사절을 보호하는 국제법을 어긴 것이며 사우디 정부는 이와 관련해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는 관련 사실을 확인해보겠다면서도 이란의 주장이 확실치 않다고 반박했다.
아흐메드 아시리 사우디군 대변인은 "(공습 전) 사나에 주재하는 모든 대사관에 공관의 좌표를 보내라고 요청했다"며 "일방적 비난에 기반한 이란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사우디가 소속돼 있는 아랍 연합군 대변인도 "우리는 예멘 반군의 미사일 발사대를 타깃으로 삼아 공격을 했다"며 "반군들이 빈 공관을 근거지로 삼고 있다가 도망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예멘에서는 '아랍의 봄' 혁명으로 2011년 독재정권이 붕괴된 뒤 압드라부 하디가 이끄는 새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하디 대통령은 시아파 등 여러 종파와 부족, 정치집단들과 권력을 분점하겠다는 약속을 어겼고 이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시아파 후티 반군은 이에 반발해 지난해 초 하디를 축출했다. 그러자 사우디는 지난해 3월부터 예멘 공습에 나섰고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 다른 아랍국가들도 여기에 동참했다. 사우디는 이란이 예멘을 비롯해 이라크·시리아·레바논 등 시아파가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들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경계해왔다.
이란이 역사적 핵협상을 타결짓자 사우디의 경계심은 더욱 커졌다. 지난 2일 사우디는 이란에 오랜 기간 유학했던 저명한 시아파 성직자 님르 알님르를 '국가안보에 위배되는 활동을 했다'며 처형했다. 그러자 이란 테헤란 주재 사우디 대사관에 시민들이 몰려가 불을 지르며 시위를 했고 사우디는 이란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했다.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7일 각료회의를 열고 금수조치로 맞대응했다. 이란 정부는 "우리 내각은 모든 사우디에서 생산된 물품과 사우디를 통한 물품의 수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사우디의 이슬람 성지 메카로 가는 성지 순례도 향후 별도로 공지할 때까지 전면 중단한다"고 덧붙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사우디에서 이란으로 수입되는 금액은 연간 6,000만 달러(720억원) 규모로 크지 않은 편이다. 이에 앞서 아델 알주바이르 사우디 외무장관은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우디와 이란의 외교관계 단절은 양국 간 항공편과 교역 종결은 물론 사우디 국적자의 이란 여행금지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사우디는 이란 국적자의 메카 성지순례는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수니파와 시아파를 대표하는 양국의 갈등은 중동 전체로 번지는 중이다. 사우디의 우방인 수니파 국가들이 이란 시위대의 사우디 대사관 공격을 문제 삼아 이란과의 관계 단절에 속속 동참한 반면, 사우디의 처형을 비난하는 이란 정부와 각국 시아파의 항의와 시위도 이어졌다. 6일 AP통신에 따르면 수니파 국가인 쿠웨이트는 이날 이란 주재 자국 대사를 불러들였다. 쿠웨이트 외무부 관계자는 대사 소환 이유에 대해 "이란 시위대의 사우디 대사관 공격은 국제 협약과 규범을 명백히 파기한 행위로, 주재 외교관과 공관의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무를 심각하게 어겼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UAE)도 이란과 외교 관계를 대사급에서 대리대사급으로 격하했다.
/이경운기자 cloud@sed.co.kr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란 국영방송 프레스 TV는 사우디 전투기가 예멘 수도 사나에 위치한 이란 대사관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방송은 이 사건으로 이란 대사관의 경비직원 여러 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전했다.
자국 대사관이 피해를 입자 이란은 즉각 사우디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호세인 자베르 안사리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사우디가 고의적으로 대사관을 폭격해 직원들이 다쳤다"며 "이는 외교사절을 보호하는 국제법을 어긴 것이며 사우디 정부는 이와 관련해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는 관련 사실을 확인해보겠다면서도 이란의 주장이 확실치 않다고 반박했다.
아흐메드 아시리 사우디군 대변인은 "(공습 전) 사나에 주재하는 모든 대사관에 공관의 좌표를 보내라고 요청했다"며 "일방적 비난에 기반한 이란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사우디가 소속돼 있는 아랍 연합군 대변인도 "우리는 예멘 반군의 미사일 발사대를 타깃으로 삼아 공격을 했다"며 "반군들이 빈 공관을 근거지로 삼고 있다가 도망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예멘에서는 '아랍의 봄' 혁명으로 2011년 독재정권이 붕괴된 뒤 압드라부 하디가 이끄는 새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하디 대통령은 시아파 등 여러 종파와 부족, 정치집단들과 권력을 분점하겠다는 약속을 어겼고 이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시아파 후티 반군은 이에 반발해 지난해 초 하디를 축출했다. 그러자 사우디는 지난해 3월부터 예멘 공습에 나섰고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 다른 아랍국가들도 여기에 동참했다. 사우디는 이란이 예멘을 비롯해 이라크·시리아·레바논 등 시아파가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들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경계해왔다.
이란이 역사적 핵협상을 타결짓자 사우디의 경계심은 더욱 커졌다. 지난 2일 사우디는 이란에 오랜 기간 유학했던 저명한 시아파 성직자 님르 알님르를 '국가안보에 위배되는 활동을 했다'며 처형했다. 그러자 이란 테헤란 주재 사우디 대사관에 시민들이 몰려가 불을 지르며 시위를 했고 사우디는 이란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했다.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7일 각료회의를 열고 금수조치로 맞대응했다. 이란 정부는 "우리 내각은 모든 사우디에서 생산된 물품과 사우디를 통한 물품의 수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사우디의 이슬람 성지 메카로 가는 성지 순례도 향후 별도로 공지할 때까지 전면 중단한다"고 덧붙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사우디에서 이란으로 수입되는 금액은 연간 6,000만 달러(720억원) 규모로 크지 않은 편이다. 이에 앞서 아델 알주바이르 사우디 외무장관은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우디와 이란의 외교관계 단절은 양국 간 항공편과 교역 종결은 물론 사우디 국적자의 이란 여행금지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사우디는 이란 국적자의 메카 성지순례는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수니파와 시아파를 대표하는 양국의 갈등은 중동 전체로 번지는 중이다. 사우디의 우방인 수니파 국가들이 이란 시위대의 사우디 대사관 공격을 문제 삼아 이란과의 관계 단절에 속속 동참한 반면, 사우디의 처형을 비난하는 이란 정부와 각국 시아파의 항의와 시위도 이어졌다. 6일 AP통신에 따르면 수니파 국가인 쿠웨이트는 이날 이란 주재 자국 대사를 불러들였다. 쿠웨이트 외무부 관계자는 대사 소환 이유에 대해 "이란 시위대의 사우디 대사관 공격은 국제 협약과 규범을 명백히 파기한 행위로, 주재 외교관과 공관의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무를 심각하게 어겼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UAE)도 이란과 외교 관계를 대사급에서 대리대사급으로 격하했다.
/이경운기자 cloud@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