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산업을 둘러싼 열기가 새해에도 식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우리나라가 외국과 비교해 핀테크 불모지는 아니다. 핀테크 서비스 영역인 간편 결제·송금, 비금융기업의 뱅킹서비스,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등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우리 시장에 초기 버전의 형태로 시도됐다.
초기 핀테크가 확산하지 못했던 것은 역설적으로 국내 금융의 인프라 수준이 매우 높은 데 주로 기인한다. 핀테크의 주요 영역인 지급결제의 경우 한국은행과 은행들의 노력으로 금융 인프라가 성공적으로 구축돼 고품질의 결제서비스를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은행을 통한 송금서비스를 다양한 채널(모바일·ATM 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 손쉬운 결제수단인 신용카드의 사용이 보편화한 점도 초기 핀테크 시장수요가 태동하지 않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핀테크는 다양한 영역에서 보다 편리하면서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P2P(개인 간 거래) 대출'과 같이 틈새 시장의 금융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 은행 등 전통적인 금융권에 혁신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있어 핀테크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정책당국도 이 같은 측면을 고려해 핀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핀테크 확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당국의 노력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간편 결제를 위한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의 신용카드 정보 저장, 빅데이터 축적을 위한 개인정보 공유 등으로 보다 정교한 정보보호가 필요하다. 또 공인인증서 폐지로 이용자 단계에서의 안전장치가 없어지고 안전성 규제도 사후규제로 바뀜에 따라 금융사고 등에 대비한 소비자 보호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향후 핀테크 산업의 건전한 발전 및 이를 통한 금융혁신, 소비자 편의 증진 및 보호를 위해 정책당국·금융권·핀테크 업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으는 노력을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