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설계된 지진 환경이나 실제 지진상황을 모사한 환경에서 차세대 원자로 제어봉의 작동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최대의 대형 6자유도 진동대에 모의 시험품을 설치하고, 제어봉의 인양과 낙하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시험에 성공했다.
지진특성을 구현한 지진파는 설계를 위해 합성된 파형뿐만 아니라 실제 측정된 지진파형도 포함하여 다양한 시험 환경을 구현했다. 원자로 제어봉의 작동 성능은 1000분의 1초 이내의 정확도를 갖는 측정 장치를 활용하여 여러 상황에 따른 제어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김영중 박사는 “원자로 제어봉의 작동 성능을 1000분의 1초 단위로 측정하는데 성공해 기쁘다”며 “향후 제어봉들을 정확하게 작동시험하고, 측정을 통해 안전이 보장된 제어봉들이 차세대 원전에 적용되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