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유출 우려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중국이 급격한 위안화 환율 변동을 막기 위해 글로벌 환투기 세력과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섰다. 위안화 환율 절하에 베팅한 핫머니 투기에 자칫 위안화 국제화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는데다 경제성장률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최근 비공개적으로 외국 기업의 송금제한 등 자본유출을 막기 위한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역내에서 외국 기업이 얻은 수익의 본국 송금을 제한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엄격한 서류를 요구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지난 25일부터는 외국 은행들이 위안화를 거래할 수 있는 역외결제은행에 적용하는 지급준비율(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일정 예금액 비율)을 기존 0%에서 17.5%로 인상했다. 역외결제은행의 지급준비율 인상은 해외 기업의 위안화 거래 규모를 줄이는 것으로 사실상 자본통제의 방법으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급격한 자본유출 배경에 국제 환투기 세력이 자리잡고 있다고 보고 이를 막기 위해 본격적인 공세에 나섰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중국 당국은 헤지펀드 대부 조지 소로스 등을 구체적인 환투기 세력으로 지목하고 전면전을 선포한 상태다. 이날 중국증권망은 리커창 총리가 25일 경제인과의 좌담회 자리에서 "중국경제가 경착륙해 세계 경제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은 도대체 무슨 논리인가"라며 국제 투기 세력을 강하게 비난했다고 전했다. 소로스는 21일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중국의 경착륙은 피할 수 없다"며 "아시아 통화 하락에 베팅했다"고 주장했다.
중국의 이 같은 적극적인 외환 통제 정책에 해외 금융기관 수장들도 사실상 힘을 싣는 분위기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는 다보스포럼에서 "중국이 환율방어를 위해 보유 외환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자본통제를 강화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구로다 총재가 언급한 중국의 자본통제 강화 필요성에 찬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이 이날 3,400억위안(약 62조2,000억원)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춘제(설) 연휴를 앞두고 시장의 현금 부족 사태를 막고 금융 시장을 안정시키려는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