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권홍우의 오늘의 경제소사]쯔위와 대만, 정성공과 일본





1662년 2월1일, 포르모사섬의 젤란디아 요새. 끈질지게 항전하던 네덜란드 수비대가 동양인에게 고개를 숙였다. 포르모사섬이란 바로 대만. 아시아를 가장 먼저 침략했던 포르투갈인들이 붙인 이름이다. 정성공(鄭成功)이 이끄는 군대의 승리는 몇 가지 특징과 흔적을 남겼다. 대항해 시대가 개막된 이후 동양이 서구를 물리친 몇 안 되는 사례인 이 전투는 포르모사로 불리던 대만을 중국사의 영역으로 편입시켰다. 국가로서 대만이 갖는 정체성이 이때부터 뿌리내렸다.

38년에 걸친 네덜란드 식민시대를 끝낸 정성공은 멸청복명(滅淸復明), 즉 만주족의 청나라를 몰아내고 한족에 세운 명나라의 부흥을 도모했던 인물. 명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가 자살(1644)한 뒤 중원을 차지한 정복왕조 청을 싫어했던 수많은 한족 지식인이 그를 따라 들어오며 대만은 중국화의 길을 걸었다.

정성공은 대만 원주민인 고산족(高山族)에게도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 멸망한 명나라의 유신과 패잔병들을 모아 대만에 상륙해 10개월 동안 전투를 치르면서 고산족을 아끼고 귀하게 여긴 덕분이다. 정작 정성공은 대만을 점령한 지 불과 5개월 만에 37세라는 나이로 생을 접었다. 독살설이 유력한 그를 이은 후손들이 세운 정씨 왕조도 1683년 청에게 굴복했지만 ‘정성공’이라는 이름 석자는 중국인들의 가슴 속에 살아 숨쉰다.

대만에서는 국조(國祖)로, 중국에서는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승리한 한족(漢族) 영웅으로 숭상된다. 명나라의 망명 황실로부터 주(朱)씨 성을 하사받아 국성야(國姓爺)로 불리는 그는 서양에서는 국성야의 서양식 발음인 ‘콕싱가(Koxinga)’로 널리 알려져 있다. 차이가 있다면 인식 뿐이다. 서양에서는 해적으로 기억하니 국제 관계에서는 ‘누구에게 영웅이지만 누구에겐 도적’인 게 맞는 모양이다.

정성공이든 콕싱가든 그는 기억 속의 영역에 머물지 않는다. 현실 속에서 그가 남긴 영향의 생명력도 여전하다. 정성공을 따라 이주했던 본성인(本省人)과 중국 대륙 공산화 이후 국민당과 함께 들어온 외성인(外省人)간 갈등의 뿌리가 정성공의 대만을 점령한 354년 전에 심어졌으니까. 최근 총통 선거에서 승리한 민진당은 ‘영웅 정성공’ 일가를 독립의 상징으로 부각시켜왔다.

중국의 대만에 대한 무력시위와 평화공세라는 화전(和戰)전술도 청나라 황제 강희제가 정씨 왕조에 구사했던 강온양면책과 맥락을 같이 한다. 공산당에게 밀려 대륙에서 쫓겨난 뒤 ‘반공’을 내세웠던 국민당이 요즘 들어서는 거꾸로 대륙과 연결하려는 것도 정성공의 아버지인 해적 출신 정치인 정지룡이 청에 항거하다 투항했던 역사와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반세기(1895~1945) 동안 식민지배를 당했음에도 호감도 1위 국가로 일본을 지목하는 대만인 의식구조의 바탕에도 정성공이 있다. 정성공이 반쪽 일본인이기 때문이다. 중국 해적이자 무역상인 정지룡과 일본인 하급 무사의 딸(이름 타가와: 일본인 어머니를 청군에게 잃은 정성공은 청나라 만주족에 대한 복수의 일념으로 살았다) 사이에서 태어난 정성공은 고향인 나가사키에서 일곱살까지 ‘후쿠마쓰(福松)’로 살았다. 일본과 손잡아 중국을 견제하려는 대만 민진당의 정책 방향 역시 청에 맞서 일본 막부 정권에 군사지원을 요청했던 정성공 후손들의 복사판이다.



한국도 정성공과 관련이 없지 않다. 조선왕조실록 숙종·현종편에는 정지룡, 정성공 부자에 대한 기록이 단편적으로 나온다. 항해 중에 난파해 조선에 표류한 대만 출신 선원들이 한사코 거부하는데도 청나라로 보낼 수밖에 없었던 내용이 다수다. 일부 유생들은 명나라의 남은 군대인 정성공의 세력이 조선에 진주하기를 손꼽아 기다렸다. 질기고 질긴 사대(事大)의 뿌리여.

반대의 기록도 있다. 대만 정씨 왕조가 남긴 기록의 조선을 보면 은근히 부아가 치민다. 청나라의 항복 권유를 받아들인 정씨 왕조의 3대 왕은 신하로 복속하되 복식만큼은 유지하게 해달라며 이렇게 항변한다. ‘청의 의관을 갖추라는 점은 재고해달라. 저 멀리 조선도 청조에 굴복했지만 의복과 풍속은 보존케 해주지 않았나. 하물며 조선이 그러한데 우리에게 복식을 버리라고 해서야 되겠는가.’

한국에서 활동하는 가수 쯔위가 대만 총통 선거의 최대 쟁점이 되고 젊은이들을 대거 투표장으로 불러모은 것도 수백년 세월 동안 뼛속에 각인된 기억들이 집단적으로 표출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된 대만인들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눈 앞의 중국시장만을 생각해 어린 가수에게 ‘사과 지시’를 종용했으니 반향이 클 수 밖에.

쯔위를 둘러싼 논란의 진위와 정당성은 둘째치고 현실에 분개해 정치행위에 적극 참여한 대만 청년들이 참으로 부럽다. 한국의 ‘88만원 세대’처럼 평균 월수입 2만2,000 대만 달러(한화 약 73만원)를 받아 ‘22K’세대로도 불리는 대만 청년들은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해 정치를 바꿔 나가고 있다. 대만 젊은이들이 스스로를 대변하자며 창당한 ‘시대역량(時代力量)은 처음 참가한 선거에서 5석을 확보하며 원내 제 3당으로 떠올랐다.

일본에서도 반쪽 일본인 정성공 때문인지 대만인들을 친하게 여긴다. 친일성향이 강한 민진당이 정권을 잡았으니 둘은 더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 대만과 일본 관계를 함축하는 사건 중에는 이런 것도 있다. 태평양전쟁이 끝났어도 ‘포로가 되면 짐승 같은 영국과 미국(귀축영미ㆍ鬼畜英米)에 잡아 먹힌다’라는 일제의 선전에 미혹된 나머지 정글에서 숨어 지내던 일본군 중에 가장 늦게 발견(1974년 11월)된 테루오 나카무라는 일본인이 아니라 대만 고사족(高砂族) 의용대 소속의 이광휘(李光輝)였다.

대륙에서 쫓겨난 국민당군이 1947년 2월 대만인들을 집단 학살(희생자 3만명 추산)한 ‘얼얼바(2.28) 사건’도 ‘차라리 일제 시대가 낫다’는 인식을 퍼뜨렸다. 대만 친일파들은 오늘날에도 일본 식민통치 덕분에 대만의 발전 기틀이 잡혔다고 공공연히 말한다. 일본 극우세력의 인식과 똑같다. 하긴 대만 뿐이랴. 한국에도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정성공처럼 일본인의 피라도 섞였는지…./권홍우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