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논의와 관련해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진전이 최종합의로 이어질 경우 이번주 중 유엔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양국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중 양국은 유엔을 통해 적절한 합의가 이뤄지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신속한 결정이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특히 미중 간 합의 과정에서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히며 "가까운 시일 내에 안보리 결의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양국 장관은 그동안 이견을 보여온 핵심 제재항목에 대해 상당 부분 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종합의는 보지 못했다. 미중 간 의견 진전이 최종합의로 이어질 경우 지난달 6일 북한이 4차 핵실험 도발을 강행한 지 50일 만에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이뤄지게 된다.
이날 회담에서 왕 부장은 제재와는 별도로 북한과의 대화·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비핵화 협상과 평화협정 논의를 병행할 것을 미국 측에 공식으로 제안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는 동참하면서 대화 국면을 통해 북한을 관리하겠다는 중국의 포석이 엿보인다. 이에 대해 미국은 북한을 대화·협상 테이블로 끌어오는 데는 동의하지만 이미 퇴짜 놓은 평화협정이 아닌 비핵화가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케리 장관은 "북한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게 해 비핵화를 논의해야 한다"며 왕 부장의 의견을 반박했다.
미중 간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에 대해 미국 측은 예상대로 북한의 비핵화와 연계시키며 중국을 압박했다. 케리 장관은 "사드 배치를 고려하지 않을 조건은 (북한의) 비핵화"라며 "북한 비핵화만 이룰 수 있다면 사드는 필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드는 공격무기가 아니라 순전히 방어무기"라며 "사드 배치는 한국과 미국의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왕 부장은 사드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관계 당사국들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하는 어떤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다양한 불안정 요인들이 얽혀 있고 영향을 미친 상황에서 다양한 당사자들이 긴장 고조를 막는 대화를 더 많이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수기자 hskim@sed.co.kr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양국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중 양국은 유엔을 통해 적절한 합의가 이뤄지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신속한 결정이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특히 미중 간 합의 과정에서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히며 "가까운 시일 내에 안보리 결의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양국 장관은 그동안 이견을 보여온 핵심 제재항목에 대해 상당 부분 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종합의는 보지 못했다. 미중 간 의견 진전이 최종합의로 이어질 경우 지난달 6일 북한이 4차 핵실험 도발을 강행한 지 50일 만에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이뤄지게 된다.
이날 회담에서 왕 부장은 제재와는 별도로 북한과의 대화·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비핵화 협상과 평화협정 논의를 병행할 것을 미국 측에 공식으로 제안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는 동참하면서 대화 국면을 통해 북한을 관리하겠다는 중국의 포석이 엿보인다. 이에 대해 미국은 북한을 대화·협상 테이블로 끌어오는 데는 동의하지만 이미 퇴짜 놓은 평화협정이 아닌 비핵화가 의제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케리 장관은 "북한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게 해 비핵화를 논의해야 한다"며 왕 부장의 의견을 반박했다.
미중 간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에 대해 미국 측은 예상대로 북한의 비핵화와 연계시키며 중국을 압박했다. 케리 장관은 "사드 배치를 고려하지 않을 조건은 (북한의) 비핵화"라며 "북한 비핵화만 이룰 수 있다면 사드는 필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드는 공격무기가 아니라 순전히 방어무기"라며 "사드 배치는 한국과 미국의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왕 부장은 사드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관계 당사국들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하는 어떤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다양한 불안정 요인들이 얽혀 있고 영향을 미친 상황에서 다양한 당사자들이 긴장 고조를 막는 대화를 더 많이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수기자 hsk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