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코끼리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고 중국의 성장둔화도 지속성장 기조 전환 중에 나와 그리 나쁘지는 않습니다. 한국이 성장을 계속하려면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이행하도록 경제구조 개혁이 시급합니다."
이창용(사진)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은 IMF와 인도 재무부가 지난 11∼13일 개최한 '전진하는 아시아' 회의 참석차 인도 방문 중에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가 들어선 후 2년 동안 '바꿔보자'는 모멘텀이 생긴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IMF는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6.3%로 전망한 반면 인도는 7.5%로 전망하고 있다.
이 국장은 "종전에 인도는 인프라를 구축하려고 해도 토지 획득이 어렵고 주(州)별로 상황이 달라 비즈니스 하기 어려운 등 여러 구조적 문제 때문에 잠재력에 비해 성장이 빠르지 못했다"며 "우선 이번 회의가 인도에서 열린 것 자체가 인도가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디 정부가 어떤 정책을 전국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더라도 가능한 주부터 지원해 먼저 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며 "이로 인해 주별 경쟁이 벌어지는 긍정적 효과가 생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도의 개혁이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는 일부의 비판에 대해 "잔에 물이 반이나 남았다고 보는지, 반밖에 없다고 보는지 차이"라며 올해 예산안에서 재정적자 목표를 3.5%로 약속하고 이를 지키고 있는 것과 인도 중앙은행이 5% 인플레이션 목표를 지키고 있는 점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국장은 세계 경제가 위기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최근 중국의 성장둔화도 중국 경제가 지속 가능한 성장 기조로 이전하는 추세 속에 있기에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의 성장둔화가 주변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우려스럽다면서 "중국이 1%포인트 성장이 둔화하면 평균적으로 다른 아시아국가는 0.3∼0.35%포인트 정도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이미 선진국이 됐기에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는 성장을 계속할 수 없다"며 경제구조 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한국은 제조업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 수 있다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10년 전부터 국내에 제조업 종사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며 "제조업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가야 하는데 생각이나 정책·제도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화·재정·환율 정책으로는 단기적으로 변동시킬 수는 있어도 경제가 하락하는 큰 추세를 막을 수는 없다"며 "어떻게 창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해주느냐, 청년 등이 해외에서도 쉽게 일할 수 있게 하느냐, 외국 기업이 우리나라에 많이 들어와서 일자리를 만들게 하느냐 등을 위한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를 지낸 이 국장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요20개국(G20) 기획단장을 거쳐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일하다가 2014년 2월 한국인으로서는 IMF 최고위직인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에 취임했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