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인 12.5%까지 치솟은 가운데 정부의 청년 일자리 정책에 대한 구직자·사용자·전문가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신뢰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취업난에 대해 기업인들은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높기 때문"으로 보고 있지만 청년들은 "일자리의 안정성과 미래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답해 양측이 상당한 시각차를 보였다.
17일 행정자치부가 한국지역진흥재단과 함께 청년·경제단체와 기업인·경제전문가 등 6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청년 일자리 현황에 대한 전국 인식조사'에 따르면 청년 일자리 정책 만족도는 15.5%에 불과했다. 일자리 정책에 대해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는 11.7%, '만족하지 않는다'는 26.6%로 응답자의 38.3%가 불만을 드러냈다.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은 46.2%에 달했다. 정책 인지도와 신뢰도도 각각 39.9%, 27.3%에 그치는 등 정부 고용정책을 잘 알지 못하고 믿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 일자리 정책이 전체적으로 낙제점을 받았다.
행자부의 한 관계자는 "청년층의 경우 일자리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만족도도 모두 조사 대상 중 가장 낮았다"며 "일자리 정책정보를 청년층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큰 과제로 대두했다"고 설명했다.
또 청년 일자리 부족에 대해 기업인과 청년 간에 커다란 인식 차를 보였다. 청년취업난과 관련해 기업인들의 66%는 '청년의 높은 눈높이 때문'이라고 답했지만 청년들은 54%만 이에 수긍했다. 반면 '일자리 안정성이 미흡하다'는 설문에는 기업인들의 경우 54%만 수긍했지만 청년층은 61%가 동의했다. 청년창업의 문제점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청년층의 경우 '창업제도지원 부족'이 4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창업전문지원 부족(46%), 창업여건 열악(40%), 창업도전의식 부족(26%) 등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들의 경우 비영리·공익활동, 문화예술 창조활동 분야의 일자리 부족 문제를 높게 인식해 이 분야에서 일자리를 확충할 경우 상당한 취업 증가 효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행자부는 부산 문화콘텐츠콤플렉스(BCC)에서 미래창조과학부·고용노동부·중소기업청·청년위원회를 비롯한 17개 시도와 청년창업가·대학생·기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경제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전국 일자리 경진대회에서 2년 연속 대상을 받은 부산시의 정책사례 발표와 지역별 청년 일자리 추진상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홍윤식 행자부 장관은 "앞으로 일자리·창조경제·경제규제개혁 등 굵직한 국가 경제정책의 현장 확산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이번 협의회를 플랫폼 삼아 현장 관점에서 고민해야 할 부분을 파악해 경제장관회의와 국무회의에 보고해 정책이 지역 구석구석까지 확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한영일기자 hanul@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