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전 대표는 이틀에 걸친 호남 방문 과정에서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참여정부에서 총리, 장관, 4대 기관장 106명 중 호남 출신 인사는 31명으로 총 29%를 차지했다”며 특히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5부 요인 중앙선관위원장을 제외하고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등 4명이 호남인사”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간에는 전남 나주 출신의 임채정 전 국회의장, 전남 보성의 이용훈 대법원장, 전북 임실의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전북 전주의 한덕수 전 총리가 직을 수행했다.
아울러 문 전 대표는 호남고속철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정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 등을 거론하며 참여정부의 ‘호남 홀대론’을 강하게 부정했다. 그는 “호남고속철은 당시 경제 타당성 조사에서 통과하지 못해 정부 부처에서 강하게 반대했었다”며 “지역 균형 차원에서 추진하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로 조기착공 돼 지난해 4월 완전개통됐다”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관련 당시까지 단일사업 최대 규모인 5조 3,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여수엑스포 유치 등 참여정부가 호남 국책사업 지원에 적극 나섰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나주혁신도시 등 공공기관의 호남 이전 역시 참여정부의 공으로 돌렸다. 이 외에도 참여정부 출범 후 매년 정부 예산 증가율(6~7%)의 3배인 연평균 20.7%씩 광주 지원 예산을 늘려왔다고도 말했다.
“‘호남홀대론’은 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것”이라며 내놓은 문 전 대표의 수치와 자료까지 동원한 적극 구애 작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도 흘러나온다. 지난 9일 광주 터미널에서 서울경제 기자와 만난 한 광주 유권자는 “문재인 개인에 대한 호감과 관계없이 참여정부의 ‘호남홀대론’은 알려진 측면과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겼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참여정부의 인사에 관한 해명이 문 전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한 지지로 이어질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평가가 많다. 지난 8일 광주 광산구의 월곡 시장에서 진행된 문 전 대표와 4~50대로 구성된 광주시민과의 대화에서 이들 중 대다수는 문 전 대표에게 ‘대북송금특검’과 ‘당권도 대권도 친노가 차지하려고 한다’는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문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참여정부에서 대북송금특검을 가지고 정말 많은 논의가 있었고 노무현 대통령 역시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 두 가지를 가지고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며 “이미 현대 쪽에서 문제가 터졌기 때문에 수사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래도 특검을 도입해서 일반 수사에서 확대될 수 있는 정치자금 수사 문제 등을 막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광주의 한 택시기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담화문까지 발표하며 수사를 하지 말아 달라고 부탁하지 않았느냐”며 “충분히 특검 자체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었던 상황”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대북송금특검은 호남의 자존심을 건드렸다는 인식이 여전히 공유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 전 대표는 ‘당권도 대권도 친노가 가지려고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호남에서 대선후보를 내지 못하고 영남 출신 후보를 지지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고 당권까지 호남이 가지지 못한다면 그것이 주는 상실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박지원 의원이 당 대표가 됐으면 호남 바깥지역에서 도움이 안될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생각한 근거에는 호남 지지를 불변으로 놓고 생각했던 것인데 (지지가 돌아선 것은) 저도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고 우리가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미안한 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적극적인 문 전 대표의 해명과 호남 구애에 대한 당내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당 관계자는 “일각에서 지지층 결집의 효과밖에 없다고 저평가 하고 있다”며 “지지층 결집이라도 반드시 필요했던 상황이다. 얼어붙은 호남 민심이 문 전 대표의 단 한 번 방문으로 해소될 수는 없지만 다시 한 번 방문하신다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와 더민주 광주시당은 오는 12일 4·13 직전 호남에서 밤샘 유세 등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