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 벨트’로 알려진 부산경남 지역에서의 변화가 특히 눈에 띈다. 부산 출신인 문재인 전 대표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향이 크겠지만 더민주는 부산 5석을 포함한 8석을 이 지역에서 얻으며 역대 선거 중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철옹성 같았던 지역주의가 이번 총선에서 균열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상대 당의 절대 우세지역에서 개별 후보들이 펼친 가열찬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그러나 오랫동안 안일하게 지역주의에 기대온 기성 정치권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겠다는 유권자들의 변화된 표심 때문임도 부정할 수 없다.
한국 정치에서 지역주의는 ‘망국적’이라는 수식이 항상 붙어 다닐 정도로 고질적 문제였다. 정당은 정강·정책 등 정치 지향이 같은 결사(結社)여야 함에도 지역주의라는 ‘괴물’이 우리 정당 체제에 뿌리 깊게 자리 잡으면서 한국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확대 재생산해왔다. 정치권 또한 정책개발 등 생산적인 선거운동에 임하기보다 지역주의에 호소하는 도덕적 해이 현상을 거듭 보여왔다. 실제 이번 총선에서도 새누리·더민주·국민의당 모두 막판에는 지역주의에 호소하는 선거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지역주의가 지난 수십년간 우리 사회 전반에 끼친 폐해를 생각하면 이번 총선에서 나타난 균열 조짐은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다. 물론 상당수 지역에서 똬리를 틀고 있는 왜곡된 형태의 ‘소(小)지역주의’ ‘신(新)지역주의’를 감안하면 완전한 해소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그럼에도 ‘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표를 구걸해서는 여의도 정치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점을 유권자는 분명히 확인시켜줬다. 영호남 지역 패권주의도 이젠 사어(死語)가 돼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