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3일 오후 동해에서 SLBM을 발사한 것과 관련된 안보리의 공식 대응인 셈.
안보리는 별도의 회의를 하지는 않고 이메일로 회람된 언론성명에 15개 이사국이 전부 동의함에 따라 이와 같이 채택했다.
이날 성명은 한국과 미국이 주도하고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의를 거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리는 언론성명에서 북한의 SLBM 실험을 강하게 비난한 뒤 SLBM 실험이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라고 전했다.
안보리가 채택한 결의안 1718호(2006년), 1874호(2009호), 2087호(2013년), 2094호(2013년), 2270호(2016년) 등은 거리에 상관없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을 금지시 하고 있다.
특히 성명은 북한의 주장과 달리 SLBM 실험이 실패로 끝났지만 그래도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의 실험이 핵무기 운반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고 지역의 긴장을 높인다면서 추가 도발을 삼가고 결의안을 지킬 것을 당부했다.
언론성명은 결의안과 의장 성명보다는 수위가 낮지만 안보리가 사안을 심각하게 보고 신속하게 대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작년 12월 25일 북한의 첫 SLBM 실험 때 공식 입장이 없으나 이날 안보리가 북한의 SLBM 실험과 관련해 첫 언론성명을 내놓았다.
한 외교 소식통은 “주말인데도 불구하고 밤새 안보리 이사국이 움직여 신속하게 언론성명이 채택됐다”며 “과거에는 대응하지 않았던 수준의 도발에도 안보리가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과 관련해 언론성명을 채택한 것은 올해 들어 이번이 5번째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