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치주질환은 가느다란 바늘로 염증 주머니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사가 시행됐지만, 통증이 발생하고 바늘이 염증을 건드려 2차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세대 치과대학(김백일 예방치과학교실 교수팀)은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연세대치과대학병원을 찾은 18~80세 202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치주질환 측정법으로 검사를 시행한 결과, 바늘 검사와 동일한 효과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새로운 치주질환 검사법은 구강 내 헤모글로빈 농도와 환자가 작성한 설문답변을 조합한 주·객관적 지표로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환자들에게 무취·무향의 파라핀 왁스를 씹게 해 타액을 채취한 후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했다. 또 스케일링 경험, 흡연·음주 등 치주질환과 연관 깊은 10개 항목의 자가 설문지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경미한 치주질환 환자(치주낭 깊이 4㎜ 이상~6㎜ 미만)와 심각한 치주질환 환자(치주낭 깊이 6㎜ 이상)에게서 측정값이 각각 0.78과 0.76으로 나타났다. 측정값은 1에 가까울수록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에 가깝게 측정된 이번 연구결과는 새로운 치주질환 검사법이 기존의 바늘 측정법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백일 교수는 “치주질환은 한 해 1,200여만명이 진료를 받을 만큼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 심혈관 질환 및 각종 전신 질환 발생과 연관을 가진다”며 “새로운 측정방법을 응용한다면 간단하게 치주질환을 예측하고 진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