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직후에는 박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진을 먼저 교체하고 이어서 내각을 개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중앙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개각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말하면서 개각설은 수면 아래도 가라앉았다.
그러나 이날 박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청와대 참모진을 교체하면서 개각 가능성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 특히 그간 끊임없이 교체설이 제기돼 온 외교·안보 라인과 함께 현 정부 출범 이후 한 번도 장관 교체가 없었던 외교부·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 등이 개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개각은 당장 가능한 일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청와대 참모와는 달리 국무위원은 인사청문 절차를 거쳐야 하기에 보다 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번달 20일까지가 19대 국회의 마지막 임시국회이고 그 이후에는 20대 국회 원 구성이 돼야 해당 상임위가 인사청문에 임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정무장관직 신설과 개각이 맞물릴 수 있다고 점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여야 원내지도부와의 만남에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정무장관직 신설을 건의하자 “정부조직법 개정 사항이므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만일 국회가 정부조직법을 개정한다면 박 대통령이 신임 정무장관을 임명하면서 동시에 기존 국무위원을 교체하는 시나리오가 정치권에서 거론되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개각 필요성에는 상당수 여권 인사가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인선과 청문 등을 감안하면 개각처럼 어려운 일도 없어 당장 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