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해성 논란이 일고 있는 유명 탈취제 페브리즈의 성분과 함량을 공개하며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주는 수준은 아니라고 밝혀 논란을 빚고 있다.
환경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 브리핑에서 한국 피앤지(P&G)가 제출한 페브리즈 성분을 공개했다. 유해성 논란이 일어난 화학성분은 미생물억제제(보존제)로 쓰이는 벤조이소치아졸리논(BIT)과 항균제인 암모늄 클로라이드 계열의 디데실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DDAC)다. BIT는 0.01%, DDAC는 0.14% 검출됐다.
이와 관련, 브리핑에 참석한 양지연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교수는 “BIT의 경우 위해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DDAC는 안전기준이 없어 독성을 재평가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지금으로썬 탈취제의 사용 빈도나 형태로 볼 때 즉각적인 위험이나 호흡기에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는 농도는 아닌 걸로 판단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 섬유탈취제에 사용할 수 있는 DDAC 함량은 0.33%이며 페브리즈는 이 함량의 절반 이하라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홍정섭 화학물질정책과장은 “P&G가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검토 보고서를 제출했는데 문제의 성분에 대해 위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고 전했다.
이어 환경부는 해당 제품에 대해 즉시 독성실험 등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탈취제 어섬페브릭, 필코스캠 에어컨·히터 살균탈취, 바이오피톤신발무균정 등 사용금지 물질을 함유한 7개 상품을 적발하고 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키로 했다. 7개 제품은 뉴스토아의 어섬페브릭, 필코스캠의 에어컨·히터 살균탈취, 바이오피톤 신발무균정(이상 탈취제), 네오제퍼의 퍼니처크림, 에이스마케팅의 Leather CLEAN & RENEW WIPES, 비엔에스월드링크의 멜트(이상 세정네) 미용닷컴의 나노칼라다크브라운(문신용 염료) 등이다.
/주현정 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