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박사들의 이 같은 현지체류는 국내에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데다 처우 또한 기대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중 비정규직이 40%에 달할 정도니 누구나 귀국을 꺼릴 수밖에 없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조사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한국 국적자 중 현지 잔류를 희망한 비율이 무려 60%에 이른 것이 이를 입증한다. 70~80%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중국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우수인력 유출의 심각성은 국가 간 비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의 ‘2015 세계 인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두뇌유출지수는 3.98로 조사 대상 61개국 가운데 하위권인 44위였다. 두뇌유출지수가 0에 가까울수록 외국으로 나가는 인재가 많고 10에 수렴할수록 모국에 많이 남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중국·인도 등 경쟁국들 대부분이 한국보다 나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인력 확보는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 데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다. 지금처럼 박사급 고급 두뇌가 해외로 빠져나가면 국가의 미래도 불투명해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그동안 한국 경제를 지탱하던 제조업이 성장한계에 부딪히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등의 신산업 발굴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들 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고급두뇌가 돌아오도록 글로벌 수준의 대우를 보장하고 제대로 된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그들에 걸맞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그 출발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