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는 “생산직 고기능 조선 근로자의 구조조정은 핵심 기술인력을 잃는 것”이라는 주장이지만 회사는 “핵심기술 전수제도 등을 통해 숙련 기술인력을 양성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는 대규모 구조조정이 당분간 이어지면서 기술자 구조조정에 대한 노사대립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3일까지 생산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현대중공업이 생산직 희망퇴직을 시행한 것은 1972년 창사 이래 44년 만에 처음이다.
희망퇴직 대상은 생산직 기장(과장급) 이상 가운데 근속 20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로 한정했다.
모두 500명가량의 생산직이 희망퇴직을 신청해 회사를 떠나는 것으로 노조는 파악했다.
회사는 희망퇴직을 신청한다고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인사부서 내부 심의를 거쳐 회사에 필요한 인력은 희망퇴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사무직 구조조정은 생산직에 비해 대규모로 이뤄졌다. 앞서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관련 5개사에서 동시에 이뤄진 사무직 희망퇴직에는 1,500명이 신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직과 사무직 희망퇴직자를 위한 회사의 지원 조건은 동일했다. 퇴직 위로금은 약정임금의 40개월분(최대)과 자녀 학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노조는 이번 생산직 첫 구조조정을 놓고 “조선업은 숙련된 노동인력이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며 “생산현장에서 벌어지는 희망퇴직을 빙자한 구조조정은 20∼30년간 노하우로 다져진 핵심 기술인력을 잃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일부 기술인력은 더욱 높은 연봉과 복지를 약속한 중국 조선업체로 이직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회사는 정년퇴직이 임박한 고연령자와 핵심 인력을 제외해 회망퇴직자를 받았기 때문에 향후 수주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현대중공업은 회사 내 고직급과 고연령자 비율이 높아 이번 희망퇴직에도 정년퇴직이 임박한 고직급자과 고연령자 중심으로 희망퇴직 신청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또 향후 수주 예상 등 경영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회사의 인력 운영과 경쟁력에 문제가 없도록 희망퇴직 규모를 조절했다는 것이다.
회사는 아울러 회사의 핵심 인력은 이번 희망퇴직 대상이 되지 않았고 이들의 희망퇴직 신청도 없었다며 기술인력 유출은 없었다는 견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정년퇴직자가 많아지면서 2012년부터 핵심기술 전수제도와 직무역량 강화교육 등을 통해 숙련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는 등 고기능 근로자 유출에 따른 문제에 철저히 대비해왔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또 모든 희망퇴직자가 재취업 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지난해 3월부터 퇴직자 전문 지원 조직인 생애설계지원센터를 운영중이라고 설명했다.
센터는 지난해 처음 실행한 희망퇴직에 이어 올해 또다시 이뤄진 희망퇴직 임직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올해 희망퇴직자 가운데는 절반이 센터에 손을 내밀었다.
40시간에 이르는 생계지원교육 프로그램에는 재취업(14시간), 창업(8시간), 재무(4시간), 건강(4시간), 다양한 삶(5시간), 관계와 인식(5시간) 강의로 구분돼 있다. 일주일에 2차례, 하루 4시간씩 한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