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 21일 오후 3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고 신공항 입지 선정 용역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밀양·가덕도 대신 ‘김해공항 확장’ 방안으로 최종 결정됐다. 영남지역 5개 지자체가 합의한 결과로 항공안전, 경제성, 접근성, 환경 등을 고려됐다. 국토부는 금년 중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며 접근 교통망을 개선해 김해 신공항을 영남권 거점공항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병수 부산시장은 발표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김해공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사업인데 어떻게 또 김해공항 확장 방안이 (해법으로) 나올 수 있는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국토부의 결정에 유감을 표했다. 영남 지역 주민들도 “결국 신공항 건설은 무산된 것”,“정부의 일방적인 공약 파기”라며 반발했다. 김해 신공항 논란을 접한 일부 네티즌들 또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22일 청와대는 “신공항은 여러 가지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려진 최적의 결론”,“사실상의 김해 신공항이 된다는 것이기 때문에 저희 입장에선 피하지 않았고 약속을 지켰다고 본다” 며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정부의 결정에 교통항공 전문가들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평가를 하면서도 소음과 안전성, 수용 가능성 등 그간 제약이 됐던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앞으로 신속한 신공항 건설을 위해 항공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수립, 그리고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거쳐 공항 건설에 착수한다. 이러한 후속조치로 2026년경 김해 신공항이 문을 열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다. /신은동인턴기자 shined0226@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