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첫 사망자는 마라토너 프란시스 라자로. 1912년 스웨덴 스톡홀름 하계올림픽 마라톤에 참가한 포르투갈의 라자로가 경기 도중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경기 전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른 밀랍이 땀을 배출하지 못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라자로는 올림픽 경기 중 숨진 최초의 사망 선수로 기록됐다.
1960년 로마올림픽 때는 덴마크 사이클 선수인 쿤드 에네마크 젠센이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 먹은 약물이 원인이 돼 레이스 도중 숨졌다.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때에는 대회 2주를 앞두고 폴란드 태생의 영국 루지선수 카지미르즈 카이-스크지페키가 훈련 도중 기둥과 충돌해 사망했다.
같은 해 호주 출신의 알파인 스키어 로스 미네도도 훈련을 하다가 나무와 충돌해 숨을 거두기도 했다.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는 오스트리아 선수단 주치의인 조르그 오베하머가 제설 기계에 깔려 숨지는 사고도 발생했고, 4년 뒤 알베르빌 대회 때에도 스위스 스키선수인 니콜라스 보차타이가 훈련 도중 제설기와 충돌하면서 사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대회에서는 개막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그루지야 대표 노다르 쿠마리타시빌리가 훈련 중 기둥에 부딪힌 뒤 끝내 목숨을 잃었다.
대회전 마지막 훈련에 나선 그는 결승선 직전 커브를 돌다가 원심력을 이기지 못해 벽으로 날아가 쇠기둥에 크게 부딪혔다.그가 썰매를 탄 슬라이딩 센터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가 나오는 코스였다. 그의 경우 최고시속이 155㎞를 넘었다.
올림픽 당시 인질극으로 선수들이 대거 사망하는 일도 있었다.
1972년 뮌헨 하계올림픽에서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분파인 ‘검은 9월단’소속의 8명의 테러범들의 인질 테러를 벌였다. 경찰이 테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총격전이 벌어져 인질 11명 전원이 사망했다. /신은동안턴기자 shined0226@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