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29일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위협이 현실화됨에 따라 우리 군도 핵추진 잠수함을 보유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여당 등에서 핵추진 잠수함 건조론이 부상하고 있는 데 대한 국방부 입장을 묻자 “현 상황에 대한 우려 속에서 나온 말로 이해한다”며 “현재 핵추진잠수함에 대해선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여당과 일부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의 SLBM 위협이 현실화된 만큼 잠항 능력이 뛰어난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북한 SLBM 발사는 대한민국뿐 아니라 동북아 안보에도 엄청난 위협으로, 발사 원점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지상 발사 미사일보다 더 심각하다”며 핵추진잠수함 도입을 주장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지난 2003년 노무현정부 당시 2020년까지 4,000t급 핵잠수함 3척을 건조하는 계획(일명 362사업)을 추진하다가 1년 만에 외부에 알려지면서 무산됐다. 당시 17억원을 투입해 배수량과 탑재 무장 장비 등에 대한 개념설계까지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효정인턴기자 kacy95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