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에 밀려 쇄락하던 충남의 한 어촌 마을이 ‘금(金)섬’이라는 화려한 옛 명성을 되찾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1980~1990년대 바지락과 김 양식으로 전국 최고 부자마을로 자리잡았으나 천수만 A·B지구 간척 사업 이후 쇄락의 길을 걷었던 충남 태안군 남면 신온3리 ‘곰섬’이 자율관리어업공동체를 꾸리며 부활의 날개짓을 펼치고 있다.
1980∼1990년대 바람만 한 번 불면 ‘곰’의 모음 ‘ㅗ’에서 ‘ㅣ’ 획이 날아가 ‘금섬’으로 바뀐다며 이웃 마을의 시기와 부러움을 한 몸에 샀던 곰섬. 그러나 천수만 A·B지구 간척 사업 시작과 함께 물의 흐름이 바뀌며 김에 질병이 발생했고 잇따른 포구와 다리 건설로 바지락 양식장 또한 모래밭으로 변해 곰섬은 속절없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그러나 곰섬 주민들은 충남도 수산관리소의 도움을 받아 자율관리어업공동체를 꾸리면서 부자마을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곰섬 주민 50여명은 지난 2009년 자율관리어업공동체를 만들어 ‘함께 가꾸고 함께 나누는’ 사업을 펴기 시작했고 이듬해 12월 공동체를 기반으로 영어조합법인을 설립했다.
곰섬 공동체는 황폐화된 양식장을 황금어장으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을 우선 추진했다. 이미 기반을 잃은 김 양식을 해삼으로 대체, 2012년부터 바다에 해삼이 살 수 있도록 돌을 넣고, 해삼 전용 인공어초를 투입했다.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투입한 어초와 돌은 2만5,000톤을 넘는다.
충남도에서도 자율관리어업 육성지원사업으로 2014년부터 올해까지 2억4,000여만원을 지원, 해삼 양식장 투석과 종묘 방류를 돕고 있다.
곰섬 공동체는 이와 함께 지난해 인공어초 1,000개 투입과 해삼 종묘 7만5,000마리를 입식한 ‘해삼 종묘 육성 양식 시범 사업’을 충남도 수산관리소와 함께 추진했고 해삼 자연 산란장 시범 사업도 펼쳤다.
2012년 개조개 시범양식으로 종묘 5만 마리를 방류한데 이어 2013년부터 최근까지 60톤에 달하는 바지락 종패도 살포했다.
곰섬 공동체는 여기에 더해 조합원끼리 바지락은 3.5㎝ 이상, 해삼은 20㎝ 이상만 채취키로 하고, 1인당 바지락 생산량도 30kg으로 제한했다. 패류어장 4곳은 1년 주기로 어장 휴식년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곰섬 공동체의 수익은 상승곡선을 타기 시작했다. 해삼의 경우 지난 2012년 1억7,096만원에서 지난해 3억9,870만원으로, 바지락은 1억8,250만원에서 지난해 1억 9,528만원으로 늘었다. 지난 2011년부터는 조합원 1인당 매년 150만원씩 배당금도 지급했다.
곰섬 공동체는 최근 열린 해양수산부 2016년 자율관리어업공동체 평가위원회에서 전국 1,119곳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으며 충남에서는 처음으로 전국 1위인 최우수 공동체로 이름을 올리는 결실을 맺었다.
곰섬 공동체는 앞으로 바지락 해감장을 만들고 바지락 판매 스마트폰 어플 개발, 전국 직거래 판매망 구축, 해삼 자연산란장 조성, 중국관광객을 위한 야생 해삼 견학코스 개발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충남도 수산관리소 관계자는 “곰섬 공동체는 초기 경험 부족 등으로 갈등과 시행착오를 겪어 왔으나,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수익을 창출하며 전국 최고로 우뚝 설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곰섬이 더욱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태안=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