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인공지능 혁명이 궁극적으로 ‘소프트웨어(SW) 혁명’이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소프트웨어가 각 분야에 접목돼 ‘디지털화’하는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 혁명이며 이것이 바로 4차 산업혁명”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신과 기계 등 전통적 산업 중심의 사고가 좀처럼 깨지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공지능이 전반적인 변화를 이끄는 만큼 정부의 정책 수립과 시행이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 김 원장의 생각이다. 그중 하나가 양극화를 해소하는 일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직업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도 크지만 사실 그보다 ‘기술을 보유한 나라와 기업이 인공지능의 생산물을 다 가져갈지 모른다’는 걱정이 더욱 심각한 문제다. 김 원장은 “생산성을 매우 크게 높이는 인공지능은 자칫 자본주의의 병폐 중 하나인 양극화를 심화할 수 있다”며 “발전에 소외되는 계층이 적도록 해야 하며 부모의 경제력이 부족하다고 교육을 못 받는 인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사회에 강조된 근면성과 일사불란 같은 덕목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김 원장은 “지식사회에는 다른 사람이 같은 일을 할 필요가 없는 사회”라며 “중구난방·백가쟁명이어도 창조적 아이디어와 토론이 난무하는 사회 분위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 정치권이 앞장서줬으면 한다”고 요청했다.
특히 교육 측면에서는 소프트웨어는 물론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 사이언스’를 배우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인재 전쟁’이 벌어지고 있고 미국·인도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적할 나라는 현재 중국밖에 없는데 우리도 인재가 없어서 4차 산업혁명의 기회를 놓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됩니다.”
일선 연구현장의 변화도 절실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정부가 할 일은 연구과제를 정해 현장으로 내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인력양성을 지원하고 연구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신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요람 시장’을 만들어주는 역할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