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중앙은행들의 추가 통화완화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인식과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중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 되면서 아시아 주요 증시가 12일 일제히 급락했다. 지난주 말 미국에 이어 아시아 증시에서도 투자심리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투표 이래 최악으로 위축된 가운데 글로벌 시장 전반에 당분간 리스크 오프(위험회피) 움직임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아시아 주요 증시는 미국 금리 인상 우려 속에 줄줄이 2% 안팎의 낙폭을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두 달여 만에 2,000선 밑으로 주저앉았으며 일본 도쿄 증시의 닛케이225지수도 292.84포인트(1.73%) 하락한 1만6,672.92에 마감됐다. 홍콩 항셍지수는 3.36%의 낙폭으로 거래를 마쳤다.
글로벌 증시가 줄줄이 약세를 보이는 데는 지금까지 통화완화 정책으로 증시 호조를 견인해온 각국 중앙은행들이 더 이상의 추가 완화를 꺼리기 시작했다는 시장의 인식이 배경이 됐다. 앞서 8일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후 마리오 드라기 총재가 “양적완화 연장을 논의하지 않았다”며 시장을 실망시킨 데 이어 주말 사이 미 연준 위원들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쏟아내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중앙은행들의 정책 기조가 바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 여기에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와 나카소 히로시 부총재가 최근 잇따라 ‘지나치게 낮은 금리의 부작용’을 언급하면서 BOJ가 이달 21일 금융정책회의에서 시장이 기대하는 ‘깜짝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구로다 총재는 최근 한 강연회에서 “언제라도 필요한 시기에는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이례적으로 마이너스 금리와 양적완화의 한계를 언급한 바 있다.
호주 소재 피크애셋매니지먼트의 니브 데이건 이사는 이날 블룸버그 라디오에서 “중앙은행들이 추가 부양을 꺼리고 있다는 점이 시장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면서 “단기적으로 증시가 추가 하락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시티 프라이빗 뱅크의 켄 펭 전략가도 “예전과 달라진 점은 시장이 더 이상 편안하게 중앙은행의 충분한 유동성 공급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는 삼성전자 급락이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 낙폭을 더 키웠다. 특히 대형주를 중심으로 이뤄진 코스피200지수는 2.63% 하락하며 대내외 충격에 더 약한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 하락세를 이끈 삼성전자는 이날 6.98% 하락하며 지난 7월13일(종가 기준) 이후 처음 140만원대로 내려왔다. 삼성전자가 6% 넘게 하락한 것은 2012년 8월27일 7.45% 하락한 후 하루 최대 낙폭이다. 주력 제품으로 기대를 모았던 ‘갤럭시노트7’의 전량 리콜 결정에 이어 기내 사용금지 등으로 배터리 폭발 사고가 확대되며 외국인의 매도세가 집중된 탓이다.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불안감이 시장을 지배함에 따라 오는 20~21일(현지시간)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앞두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BOJ의 향후 행보에 대한 시장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며 이달 회의 때까지는 엔화와 일본 국채시장 역시 상당한 변동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FT는 지난 6~9일 월가 이코노미스트 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미 연준이 이달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은 13%에 불과했으나 만약 연준이 실제로 이달 중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금융시장은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취임 이후 최대 쇼크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김영준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번 FOMC 이후 12월로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컨센서스가 모아진다면 시장은 금세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설사 21일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이미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반영된 만큼 추가 하락보다는 자연스러운 반등 타이밍을 노리는 모습이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민·김연하·변재현기자 noenem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