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비교적 약한 지진이 간헐적으로만 발생해 그저 ‘남의 일’로 치부해왔으나 이제는 아니다. 지난 12일 오후 역대 가장 강한 규모인 5.8의 강진이 전국을 뒤흔들면서 내진설계 강화와 지진대응 시스템 구축, 안전교육 활성화 등 이전과 다른 획기적인 지진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30.3%로 일본(8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민간건축물 가운데서도 공동주택은 그나마 42%에 내진설계가 돼 있지만 단독주택은 97%가 무방비 상태여서 건물의 내진 활성화가 급선무로 대두됐다. 공공건축물은 현재 내진율이 40.9%로 오는 2020년 49.4%까지 끌어올린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하지만 민간건축물은 ‘비용 증가’를 이유로 정부가 강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내진율 달성 로드맵조차 없다. 30년 동안 건물의 평균 내진율이 30%라는 점을 보면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앞으로도 상당수 건물이 지진 위험으로부터 방치될 수밖에 없다.
기상청과 안전처에 따르면 이번 ‘경주 지진’은 총 네 번의 지진에 241회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다수의 경상자와 건물균열 등 재산피해가 일어났다. 특히 원전과 공장이 일시 중지되고 경주 인근 문화재의 안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김영희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강진이 일어나면 한 달 정도는 여진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경주 지진을 계기로 기존과 다른 지진대응과 연구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영일·김민정기자 hanu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