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지 않아도 근래 들어 한반도에 강진이 잦아지는 상황이다. 2013년에는 전남 신안군 흑산도와 인천 백령도 해역에서 각각 규모 4.9의 지진이 감지됐고 2014년 충남 태안군 해역에서는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최근 3~4년간 동·서해안을 가리지 않고 강진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 갈수록 지진 주기가 짧아지고 강도도 세지고 있다. 한반도는 단층구조상 최대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니 이제 시작에 불과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지진대응 전략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울산·경주 강진이 잇따른 양산단층만 보더라도 그동안 비활성단층으로 판단됐지만 언제든지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활성단층으로 바뀌어 강진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올 4월 구마모토 대지진 등으로 한반도 단층구조가 변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를 포함해 여러 해석이 나오는 만큼 정부는 한반도 지질에 대한 전면 재조사부터 벌여야 할 것이다. 단층구조와 위치가 변하고 있어 기존 조사가 무의미해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기업 역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시스템을 다시 점검해야 할 때다. 7.0 이상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설계로 공장을 지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유통·물류업계는 유사시 물류마비 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전력·석유·가스 분야는 비상시 에너지 수급책까지 마련해둬야 한다.
화재·폭발 등 2차 피해에 대비하는 매뉴얼도 갖출 필요가 있다.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힘들지만 철저히 대비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유비무환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