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시 지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종합대책은 지난 6월 만든 ‘지진방재 종합계획’ 내용을 보강한 것이다.
시는 우선 공공건축물 총 1,334개소 중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251개소에 대해 내년까지 ‘내진성능평가’를 완료, 평가 결과에 따라 연차별 내진보강을 신속히 추진한다.
시민 이용이 많은 도시철도의 경우 내진보강이 필요한 53.2㎞ 구간에 대해 국내 내진설계기준(지진규모 6.3)에 맞게 지난 2013년 3월부터 단계적으로 보강공사가 진행 중이다. 내년에는 예산을 올해 대비 약 200억원 늘려 2020년까지 100% 내진설계 마침표를 찍을 예정이다.
현재 82%의 내진율을 보이고 있는 교량·지하차도 등 도로시설물은 2019년까지 내진보강을 완료하고, 내진율이 26.6%(총 3,451동 중 917동)에 불과한 학교시설은 교육청과 꾸준히 협의, 내진성능평가 비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민간건축물은 1998년 내진설계 도입 이전 이미 건축된 기존 건축물이 많아 내진율이 약 26.8%로 매우 낮다. 서울시는 중앙부처와 협의해 재산세·취득세 감면 등을 추진하고, 내진율을 높이는 여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진발생정보와 행동요령 등을 신속하게 전파하기 위해서 ‘서울안전앱(가칭)’ 개발도 내년 상반기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시민대피소·이재민 수용소 등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시설을 지도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현재 서울시청 등 13개소에 설치된 ‘지진가속도계측기’도 추가로 설치해 지진 발생 이후 민첩하게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내년에는 서울시에 특화된 지진재난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대응책 마련을 위해 ‘서울시 지진환경 심층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용역을 시행, 서울형 지진정보 제공 시스템도 만들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인식하고, ‘지진에 강한 서울’을 만들고자 시 역량을 모으겠다”며 “또 원전이 모인 경북 지역에서 지진이 일어나 시민이 크게 불안해하고 있는 만큼 ‘원전하나줄이기’ 2단계 목표 등을 통해 안전한 에너지 정책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