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서울은 저출산·‘탈(脫) 서울’ 가속화로 900만명대 도시로 축소되고, ‘1인 가구’나 부부만 사는 가구가 다수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연구센터장은 27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의 미래·서울의 선택’을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 발제문에서 통계청과 서울시 자료 등을 분석해 이같이 언급했다.
분석에 따르면 현재 1천만명 가량인 서울 인구는 2040년 916만명으로 감소, 1980년대 초반 수준으로 줄어 들었다. 자연 인구감소와 함께 주거비 부담 등으로 서울에서 밀려나는 인구가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
경제를 담당하는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현재 750만명에서 545만명으로 줄었다. 소비를 주도하는 45∼49세 인구도 80만명에서 64만2천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경제가 성장둔화, 소비급감 등으로 활력을 잃어가는 것.
전체 410만 가구 중 ‘1인 가구’가 30%, ‘부부 가구’가 32%로 1∼2인 가구가 전체의 60% 이상이 되겠다. 가장 일반적인 가구 형태로 여겼던 부모·자녀로 이뤄진 가구는 24%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가임여성(20∼39세)은 현재 150만명에서 96만명 수준으로 급감하게 된다.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중위연령은 52세가 될 전망.
중위연령은 모든 인구를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선 사람의 나이로, 2013년 중위연령이 39세였던 것을 생각하면 2040년엔 50대가 ‘젊은이’ 취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 발달로 기대수명은 남성이 85.1세, 여성은 90.7세로 높아질 예정.
인구·사회 구조 변화로 서울시민의 생활 방식도 바뀔 전망.
2040년 서울시민을 대표하는 4가지 유형으로 ‘소셜족’(Social tribe), ‘노마딩글’(Nomadingle), ‘미 그레이 시니어’(Me Gray Senior), ‘패시브 실버’(Passive Silver)가 선정됐다.
‘소셜족’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고 사회 문제와 불안감을 공동체를 통해 함께 해결할 예정이다.
‘노마딩글’은 유목민을 뜻하는 노마드(Nomad)와 미혼을 말하는 싱글(Single)의 합성어로 알려졌다. 현재 자신의 삶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타인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는 삶을 사는 무리.
경제적 안정, 건강한 신체를 바탕으로 여유를 즐기며 사회적 발언권을 행사하는 적극적 중고령자 집단 ‘미 그레이 시니어’가 건재한 반면, 가족을 위해 삶을 희생했지만 정보격차로 사회에서 소외되고 경제력이 약한 은둔형 고령자 집단 ‘패시브 실버’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연구원 장남종 연구위원과 양재섭 도시공간연구실장은 2040년 서울은 기후변화 등으로 평균 기온이 지금보다 3.4도 오르고, 연간 열대야가 13.8일 증가해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2001∼2010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지성 폭우와 폭설도 증가해 시민 안전을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2040년 서울에는 지은 지 30년 넘은 주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현재 아파트의 89%(146만호)가 재건축대상이 되겠다.
서울연구원 맹다미 연구위원은 많은 주택이 한꺼번에 낡아 슬럼화가 우려된다면서 주택정책 방향을 ‘양적공급’에서 ‘질적성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상하수도, 도로, 교량, 지하철, 학교 등 인프라 노후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이복남 서울대 교수와 남궁은 명지대 교수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시민과 함께 적절한 ‘치료’·‘수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서울연구원 제공]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