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40년에 서울에서 건축 연한 30년이 넘는 주택이 전체 주택의 70%까지 차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의 주택들도 이른바 ‘고령화’에 접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맹다미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의 미래·서울의 선택’ 세미나에서 ‘늙어가는 주거지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발제문을 통해 이 같은 전망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2010년 7.2%의 비중을 차지했던 서울의 건축 연한 30년 초과 주택은 2040년이 되면 전체 주택의 최소 절반을 넘게 된다. 지난 2005~2014년 평균 공급량인 4만5,000가구가 2040년까지 매년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30년 초과 주택은 약 50%가량이다. 하지만 멸실을 통해서만 주택을 공급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할 경우 30년을 넘은 주택은 약 70%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지난해 약 23만 가구였던 서울의 재건축 대상 아파트는 2040년에는 146만 가구까지 늘어난다. 이는 현재 아파트 164만 가구의 약 89%에 달하는 수치다.
맹 연구위원은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주택 정책 방향이 ‘양적 공급’에서 ‘질적 성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도성장기에서 저성장기로 변화하는 향후 10년의 정책이 2040 서울의 주거지를 좌우할 것”이라며 “주거지 노후화는 사회문제와 직결되므로 주거지의 공간복지정책을 구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