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대기업 대출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주요인이 STX조선해양 등 일부 기업의 부실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몇몇 기업에 국한된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STX조선해양이 5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기존 대출금이 연체됐고 이것이 대기업 연체율을 1.4%포인트 상승시키는 효과를 낸 만큼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이는 지금 대기업이 처한 현실을 모르거나 외면하는 안이한 판단이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대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9%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15%에 육박하고 있다. 산업별로도 조선에 이어 운수·철강업 등으로 한계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대기업 부채의 위험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금감원의 통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해 대기업 부실채권은 13조원이나 늘어 2014년(7조원)의 약 2배에 달했다.
올해도 한진해운 사태 등으로 부실채권이 급속히 늘어날 조짐이다. 은행들까지 올 4·4분기에 대기업의 신용위험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을 정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4분기 은행권이 예상한 대기업의 신용위험지수는 23으로 3·4분기(20)보다 상승했다. 가계와 중소기업 대출의 부실화가 우려되는 판에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는 대기업마저 늘고 있는 것은 경제에 적신호다. 무엇보다 저성장 기조에 대내외 경제여건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기업 자금흐름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서 부실징후 기업에는 과감하게 메스를 대야 할 것이다. 상시적·선제적 구조조정이 절실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