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물가가 1%대의 상승세를 보였다고 물가불안을 우려하며 호들갑 떨 일은 아니다. 지금은 물가가 올라서 걱정이 아니라 오르지 않아서 걱정인 시대다. 더구나 지금의 상승세는 한국은행이 4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반기 1.0%, 하반기 1.4%로 연평균 1.2%를 전망한 범위 안에 있다.
문제는 이런 저물가가 서민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치솟는 농축수산물 가격을 보면 장보기가 무섭다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143.6%), 무(139.7%) 등 김장 채소 가격이 전년보다 2배 넘게 뛰었다. 워낙 가격이 치솟다 보니 김장을 포기하겠다는 가정이 속출할 정도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소주에 이어 맥주·콜라 가격이 인상됐고 라면 값 인상설마저 나돈다. 다음달에는 도시가스 가격 인상도 예정돼 있다.
당연히 체감물가와 지수물가 사이의 괴리가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가 아무리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강조해도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이유다. 지금과 같은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세는 공산품 가격 등 각종 물가를 들먹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 생활이 더욱 힘들어지고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농축수산물 수급 안정과 함께 가격 인상 요인이 있더라도 인상폭을 최소화하거나 인상시기를 분산시키는 당국의 노력이 절실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