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29일 우 전 수석의 재소환과 관련해 “특별히 (소환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실장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범죄 단서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 우 전 수석의 직무유기 혐의로 민정수석실 산하 특별감찰반을 압수수색한 지 닷새나 지났지만 여전히 우 전 수석을 소환하기는커녕 일정 조율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날 “특검 전까지 최선을 다해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법조계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면조사 최종 거부를 끝으로 사실상 더 이상의 수사 확대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전 실장과 우 전 수석의 소환도 특검 단계에서나 기대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작 최순실 국정농단에 두 실세가 연루된 정황은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최씨와 일면식도 없다”던 김 전 실장은 차은택씨와 김종 전 문체부 차관 등을 만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최씨 측 인물인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을 만난 정황도 드러났다. 우 전 수석도 장모 김장자씨가 최씨와 골프 회동을 갖는 등 모종의 관계를 맺은 사실이 밝혀져 의혹을 증폭시켰다.
이를 두고 여전히 검찰 내 영향력을 갖고 있는 두 사람에 대해 검찰이 지나치게 몸을 사리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우 전 수석의 구속수사를 촉구하며 서울중앙지검 청사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여온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농성을 해제하면서 “검찰이 여전히 ‘여러 상황을 검토 중’이라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개탄스럽고 한심한 처사”라며 “우 전 수석 구속수사만이 검찰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