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정부 및 관광업계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6일 2017년 업무보고에서 올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망을 지난해보다 4.7% 증가한 1,800만명으로 잡았다. 증가율 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15년(-6.8%)을 제외하고 2006년 2.2% 이후 최저다. 최근 10년간은 매년 1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800만명이었던 방한 유커의 올해 증가율은 사실상 ‘제로’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15년을 제외하고 최근 연간 30~50% 증가율을 기록한 데 비하면 심각한 수치다. 유커는 2016년(1~11월 기준)에 36.5%가 늘었다. 이에 따라 이들 유커 급증 기대에 의존한 국내의 관광·유통·숙박업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초부터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중국 당국이 한국 항공사가 신청한 1월 전세기 운항을 불허했다. 전세기로 오가는 관광객이 3% 내외에 불과하지만 중국의 압박 강도가 더 세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 내 경기침체로 해외로의 여행자들이 크게 늘지 않는 것도 문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관광 담당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흔들리는 것도 제대로 된 대책 마련과 실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부처의 핵심인 장차관들이 연이어 특검에 소환됐거나 앞두고 있어 일관된 대책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정부와 업계는 중국 당국의 입김이 상대적으로 덜 미치는 개별 관광객에 집중하는 것과 함께 일본이나 동남아 관광객에 마케팅을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일본의 경우 지난해 25% 이상 성장하는 등 4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대만·태국·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당국자 간의 협약체제 구축도 시도 중이다. 중국과 ‘저가덤핑상품’ 해소를 위한 당국자 간 협의기구를 구성하기로 한 것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국내 정권교체기에 중국이나 일본과의 관계 재정립 여하에 따라 관광시장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