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발생한 동탄신도시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는 안전관리 부주의에 인재(人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전국에서 대형 화재사고가 잇달아 발생했지만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화재 원인은 철제구조물 절단 작업 과정에서 불꽃이 주변에 옮겨붙은 것으로 조사됐다. 만약 주변에 불이 잘 붙는 소재들을 치운 뒤 작업했다면 피할 수 있었던 사고라는 분석이다. 또 현장 목격자들 사이에서 화재 직후 경보기가 제때 작동하지 않았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어 안전불감증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절단 과정서 불꽃 옮겨붙어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 추정”
5일 경기 화성동부경찰서가 진행한 동탄 상가 화재 합동감식에서 점포 중앙부 철제구조물 절단하던 중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에 따르면 화재 현장 주변에서 산소절단기 장비와 가스용기 등이 발견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뽀로로파크 내부에 가연성 소재가 많았던 것이 피해 규모를 키웠다고 분석하고 있다. 경찰은 불이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참고인 진술과 현장 감식 결과를 분석해 책임 소재를 따질 예정이다. 특히 안전조치 미이행 여부를 조사해 공사 관계자의 책임이 드러나면 관련자를 형사 입건할 방침이다. 여기에 화재 직후 경보음을 듣지 못했다는 증언도 속속 나오고 있다. 화재경보 시스템에 제대로 작동했다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는 “화재가 발생한 장소와 상황을 고려할 때 주변에 불꽃이 튈 가능성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우레탄, 스티로폼 등이 많은 현장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현장의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안전에 대한 무감각한 대응 탓에 발생한 대형 화재사고는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4년 69명의 사상자를 낸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2015년 13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도 의정부 아파트 화재, 2016년 14명 사상자를 기록한 남양주 지하철 4호선 공사현장 폭발 사고 등이 이어졌다. 특히 고양터미널 상가 화재는 칸막이 및 가스배관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들이 가스가 샌 사실을 모른 채 용접작업을 하다가 불씨가 천장 가연성 소재에 옮겨붙으며 사고가 났다. 이번 동탄 화재와 원인이 비슷한 사례로 사고 발생 후 3년이나 지났지만 작업현장의 안전의식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로 국민안전처 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용접으로 인한 화재는 매년 1,000건에 이르고 있지만 관리 감독 부실로 인해 줄어들 조짐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안전처 오늘부터 안전대진단
국민 안전불감 개선 기대
때마침 국민안전처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6일부터 국가안전대진단을 시작할 예정이어서 안전불감증 개선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안전처는 그동안 대형 화재가 발생했던 전통시장, 붕괴사고로 인명피해를 냈던 공사장, 안전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야영장·레저시설·산후조리원 등이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안전분야의 한 관계자는 “국민안전처는 이번 진단에서 어린이 이용 시설물과 같이 가연성 소재가 많아 작은 실수에도 큰 인명 피해를 날 수 있는 장소를 집중적으로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