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개최된 국제의원연맹 유엔총회에서 2030 지속가능개발(SDG’s) 어젠다 중 해양보전, 지구보호 및 인간복지보장에 대한 주제가 논의됐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 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국제의원연맹에서는 이례적으로 총회 주제로 해양환경 문제를 선정했으며 필자는 이 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우리가 누려온 해양이 주는 경제적 혜택과 시장가치는 실로 무궁무진하다. 수산·유통·양식·관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제품 및 서비스 형태로 경제적 편익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시장가치 또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사회를 거쳐 무분별한 개발이 이어졌고 더 이상 환경보호 문제는 일부 국가가 아닌 전 세계가 공통으로 당면한 과제가 됐다.
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은 미세 플라스틱, 기후변화, 해양 산성화 등 여러 가지 생태계와 관련된 문제들과 해결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으며 해양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답은 쉽게 나오지 않았다.
필자는 지금으로부터 8년 전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이행함에 있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활용을 제안했고 글로벌 통신 대표협의체인 ‘ITU-유네스코 브로드밴드’의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며 이 제안이 실현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번 IPU 유엔총회에서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 개발목표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위성관찰 기술 등 첨단기술로 대두되는 스마트 플랫폼을 활용하고 전 세계가 개방·공유·협력·창의의 제4의 물결,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정신을 바탕으로 환경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IPU에 개방적 혁신에 기반한 스마트 플랫폼 특별위원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특별위원회는 각국의 기술과 인력을 비롯한 스마트 리소스를 공유해 위협이 되는 해양환경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과학적인 증거 기반에 입각한 정책입안을 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은 이러한 제안에 대해 공감과 지지를 표명했으며 동시에 대한민국이 앞장서서 WEF에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속 인프라와 전자정부를 성공적으로 이뤄낸 기술과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화시대를 선도했다. 이제 제4의 물결, 스마트사회 패러다임의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의 공통이슈인 해양환경 문제 극복에 앞장서는 동시에 제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회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