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본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돌입하면서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 우려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레이팅스를 인용해 오는 2021년까지 만기 도래하는 아시아 회사채가 총 1조달러 규모이며 이 가운데 63%가 달러화 표시라고 전했다. 아시아 각국의 부채 폭탄은 기업부터 은행·정부·가계 등 경제주체를 가리지 않고 퍼져 있으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이들 국가의 부채 뇌관을 건드릴 수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지적이다. 중국의 경기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 환율변동성 등은 역내 리스크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통신은 중국 상하이의 철근부터 호주 시드니의 부동산까지 모든 부문에 거품이 끼어 있다고 경고했다.
각국 정부는 외환보유액을 확충하고 역내 채권시장을 강화하는 등 리스크 완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부채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른 것이 문제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58%로 2015년 158%와 비교하면 무려 100%포인트나 늘어났다. 중국의 차입은 대부분 기업에서 이뤄진 것으로 국영 ‘좀비회사’들이 주범으로 꼽힌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중국이 기업부채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08년 173%에서 지난해 240%로 확대됐으며 호주는 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189%에 달한다.
호주 역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소득 대비 부채가 189%라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상태다. 필립 로 호주중앙은행 총재는 지난해 가구당 소득이 3% 증가한 데 반해 주택 관련 부채는 6.5% 늘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지난 몇 년간 저금리와 부동산 붐을 통해 경기를 부양했지만 1,344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가 가계 소비 확대를 짓누르고 있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16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129%를 크게 웃돌고 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