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7일 미국이 북한을 선제타격한다” “북한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밀고 있다”
시도 때도 없이 기승을 부리는 미세먼지처럼 거짓 정보들이 판치며 우리의 시야를 가리고 있다.
범람하는 가짜뉴스에 금융시장은 요동치고 한 달도 남지 않은 19대 대통령선거는 네거티브 난타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도,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다.
미국 온라인 매체 버즈피드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선거 때 페이스북 등으로 공유된 가짜뉴스의 수는 870만건으로 주요 언론사 뉴스의 공유 수(730만건)를 크게 웃돌았다.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퍼뜨리는 거짓 정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삽시간에 퍼져 진실을 왜곡하고 사회에 큰 혼란을 주고 있다. 때로는 진실을 압도하는 파급력을 보이기도 한다. 개방과 공유가 중심이 된 디지털 문화가 만들어낸 어두운 단상이다.
그럴듯한 논리로 포장한 가짜뉴스의 수법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올 2~3월 성인 남녀 1,084명을 대상으로 국제 분야의 진짜 뉴스 2건과 가짜뉴스 4건을 섞은 뒤 내용의 진위를 맞히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 테스트 결과를 보면 6건 모두 완벽하게 구별한 응답자는 1.8%뿐이었고 60%는 절반도 맞추지 못했다.
뉴스는 대선 후보의 지지율을 좌지우지할 정도로 파급효과가 크다. 접전을 벌이고 있는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한순간 판세를 뒤집을 수 있는 가짜뉴스에 대해 경계령을 내리고 강력 대응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가짜뉴스를 차단할 방법은 없는가.
독일은 총선을 앞두고 허위 사실이나 증오 콘텐츠를 찾아내고도 지우지 않는 소셜미디어 회사에 최고 5,000만유로(약 600억원)의 벌금을 물리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내에서도 국민의당이 11일 독일과 비슷한 ‘가짜뉴스 청소법’을 발의했다. 가짜뉴스의 최대 유통채널인 포털과 SNS 등 통신사업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과도한 규제라는 시선도 있지만 뉴스 제공으로 이익을 얻는 통신사업자에게 무리한 요구는 아니다.
이런 규제만으로 가짜뉴스를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다. 이를 감시하고 비판할 사회적 장치와 성숙한 시민의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우리는 진실 확인에 얼마나 신중했는가. 신뢰성 회복과 강화를 도전받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가질 때 비로소 가짜뉴스가 줄어들 수 있다.
가짜뉴스 차단은 정부만의 몫도, 포털만의 몫도 아니다. 정부의 가짜뉴스에 대한 엄정한 대응은 물론, 악성 루머에 현혹되지 않는 국민들의 냉철한 시각이 필요한 때다.
/chang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